目次
1. 소개
Ubuntu를 비롯한 Linux 환경에서는 “locale(로케일)” 설정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로케일이란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이 표시하는 언어, 날짜·시간 형식, 통화 기호, 소수점 및 콤마 사용법 등 각 국가·지역의 문화와 관습에 맞게 환경을 최적화하는 메커니즘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Ubuntu를 설치한 직후에는 영어 환경인 경우가 많으며, 시스템 메시지와 애플리케이션 표시, 나아가 날짜와 숫자 형식도 일본인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일본어 및 일본 사양으로 변경하려면 “locale” 설정이 필수입니다. 특히 서버 용도뿐만 아니라 일상적으로 Ubuntu 데스크톱을 사용하는 경우나,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Docker와 같은 가상 환경에서도 로케일 설정을 올바르게 하면 일본어화와 문자 깨짐 방지, 쾌적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Ubuntu에서 로케일의 역할과 설정 방법, 흔히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대처법까지 체계적으로 설명합니다. 이제 Ubuntu를 사용하기 시작하는 사람도, 기존 환경에서 일본어화와 로케일 조정이 필요한 사람도, 꼭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2. 현황 파악 (확인 단계)
Ubuntu에서 로케일 설정을 변경하기 전에, 먼저 “현재 로케일 설정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서는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와 확인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로케일 상태를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터미널에서locale
명령을 실행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현재 활성화된 로케일 설정의 상세가 목록으로 표시됩니다. 표시되는 주요 항목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LANG=ja_JP.UTF-8
LC_CTYPE="ja_JP.UTF-8"
LC_NUMERIC="ja_JP.UTF-8"
LC_TIME="ja_JP.UTF-8"
...
“LANG”은 시스템 전체의 기본 로케일을 나타내며, 각 “LC_”로 시작하는 항목은 문자 종류·숫자·날짜·메시지 등 개별 카테고리의 설정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LANG”이나 “LC_MESSAGES”에 “ja_JP.UTF-8”이라고 표시되면, 일본어 환경이 활성화된 상태입니다. 또한, 사용 가능한 로케일 목록을 확인하고 싶다면 다음 명령을 사용합니다.locale -a
이 명령은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로케일을 리스트업합니다. 리스트에 “ja_JP.UTF-8” 등 일본어 관련 로케일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 두세요. 만약 일본어 로케일이 리스트에 없거나, “locale” 명령의 출력이 영어이거나 예상 외의 값이 나온 경우에는, 앞으로 소개할 절차를 통해 로케일 추가 및 설정 변경이 필요합니다.3. 일본어 로케일이 없을 경우의 대처
현황 확인 결과,locale -a
출력에 “ja_JP.UTF-8” 등 일본어 로케일이 포함되지 않거나 일본어 표시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일본어 로케일을 추가·활성화해야 합니다. 아래에 그 절차를 자세히 설명합니다. 우선, 일본어 로케일을 생성하고 사용하려면 “language-pack-ja”와 “locales”와 같은 패키지가 필요합니다. 이들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일본어 로케일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필요한 패키지 설치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일본어 관련 패키지를 설치합니다.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language-pack-ja
Ubuntu 버전이나 용도에 따라, locales
패키지도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설치해 두면 안심됩니다.sudo apt install locales
일본어 로케일 생성
패키지를 설치했으면, 다음으로 일본어 로케일을 생성합니다. 아래 명령을 실행해 주세요.sudo locale-gen ja_JP.UTF-8
이렇게 하면 시스템에 일본어 로케일이 추가되고, locale -a
출력에도 “ja_JP.UTF-8”가 표시됩니다.로케일 반영
설치 및 생성만으로는 설정이 반영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update-locale
명령으로 기본 로케일을 일본어로 설정해 두세요.sudo update-locale LANG=ja_JP.UTF-8
이 작업을 통해 앞으로 새로 여는 터미널이나 로그인 세션에서 일본어 로케일이 사용되게 됩니다.4. 로케일 생성 및 활성화
일본어 로케일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 후에는 실제로 로케일을 생성하고 시스템 전체에 설정을 반영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주로 명령어 조작을 사용하여 일본어 환경을 확실히 활성화합니다.로케일 생성
대부분의 경우,sudo locale-gen ja_JP.UTF-8
를 실행하면 충분하지만, 경우에 따라 /etc/locale.gen
파일을 수동으로 편집하여 필요한 로케일 행의 주석을 해제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텍스트 편집기(예: nano)로
/etc/locale.gen
을 엽니다.
sudo nano /etc/locale.gen
- 파일 내에 “ja_JP.UTF-8 UTF-8” 라는 행이 있고, 앞에 “#” 로 주석 처리되어 있었다면 “#” 를 삭제합니다.
- 저장하고 편집기를 종료합니다.
- 그 후, 로케일 정보를 생성합니다.
sudo locale-gen
로케일 활성화
다음으로,update-locale
명령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기본 로케일을 일본어로 설정합니다.sudo update-locale LANG=ja_JP.UTF-8
이 명령에 의해 “/etc/default/locale” 파일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고, 이후 세션에서 일본어 로케일이 활성화됩니다. 여러 개의 환경 변수를 개별적으로 지정하고 싶다면, 예를 들어 LANG, LC_TIME, LC_MESSAGES 등, 다음과 같이 커스터마이즈할 수도 있습니다.sudo update-locale LANG=ja_JP.UTF-8 LC_TIME=ja_JP.UTF-8 LC_MESSAGES=ja_JP.UTF-8
설정을 반영하는 시점
명령을 실행한 직후에는 바로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한 번 로그아웃하고 다시 로그인하거나, 서버라면 재부팅함으로써 새로운 로케일 설정이 활성화됩니다.5. 시스템 전체 vs 사용자 단위 설정
Ubuntu에서 로케일 설정은,시스템 전체에 적용하는 방법과,개별 사용자별에 적용하는 방법의 2가지가 있습니다. 용도와 운영 정책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하면 보다 유연한 환경 구축이 가능합니다.시스템 전체 로케일 설정
시스템 전체에 로케일을 적용할 경우, 주로/etc/default/locale
파일이나 update-locale
명령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에서는 해당 Ubuntu 머신에 새로 로그인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로케일이 기본으로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한sudo update-locale LANG=ja_JP.UTF-8
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etc/default/locale
이 업데이트되고, 이후 모든 사용자의 기본 언어가 일본어(ja_JP.UTF-8)로 설정됩니다。사용자 단위 로케일 설정
특정 사용자만 다른 로케일을 설정하고 싶을 경우, 홈 디렉터리 내 설정 파일을 편집합니다. 자주 사용되는 것은~/.pam_environment
입니다。- 대상 사용자로 로그인하고, 다음 명령으로 파일을 엽니다。
nano ~/.pam_environment
- 파일 안에 아래와 같이 기록합니다。
LANG=ja_JP.UTF-8
필요에 따라 LC_* 변수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 설정을 저장하면 해당 사용자로 로그인했을 때만 지정한 로케일이 적용됩니다. 서버 등 다중 사용자가 이용하는 환경에서는 “관리자는 영어, 일반 사용자는 일본어”와 같은 구분도 쉽게 할 수 있습니다。localectl 명령 활용
systemd 기반 환경에서는localectl
명령으로도 로케일 설정 및 확인이 가능합니다。sudo localectl set-locale LANG=ja_JP.UTF-8
이 방법도 시스템 전체에 대한 설정이며, 명령 하나로 즉시 로케일을 전환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6. GUI 환경에서 로케일 설정 (Ubuntu Desktop/GNOME 환경)
Ubuntu를 데스크톱 용도로 사용할 경우, 많은 작업을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로케일 설정도 예외가 아니며, 명령을 사용하지 않고 일본어 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설정 메뉴에서 로케일 변경 절차
- 화면 왼쪽 하단 또는 왼쪽 메뉴에서 “설정”을 엽니다.
- ‘지역 및 언어’ 또는 ‘Region & Language’ 항목을 선택합니다.
- ‘언어(Language)’ 항목에서 ‘일본어’를 선택합니다.
- 추가로 ‘포맷(Formats)’ 항목도 ‘일본’이나 ‘일본어’로 설정하면, 날짜와 시간 표기, 통화 단위 등도 일본식이 됩니다.
- 변경 후 ‘재시작’ 또는 ‘로그아웃→재로그인’을 권장하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으니, 지시에 따라 적용합시다.
입력 메서드(IME) 설정
일본어 입력을 편리하게 사용하려면, IME(Input Method Editor)도 함께 설정합시다. Ubuntu에서는 “Fcitx5”나 “IBus”와 같은 입력 프레임워크가 사용되며, 초기 상태에서는 “Mozc”나 “Anthy”와 같은 일본어 변환 엔진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설정’→‘지역 및 언어’→‘입력 소스’ 또는 ‘Input Sources’에서 ‘일본어(Mozc)’ 등을 추가
- 단축키(예: Super + Space)로 일본어 입력과 영어 입력을 전환 가능
문자 깨짐 및 일본어 표시 문제 시 대처
GUI에서 언어 설정을 변경해도 일부 앱이나 터미널에서 일본어가 표시되지 않거나 문자 깨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경우 다음을 확인하십시오.- 폰트 패키지(예: fonts-noto-cjk)가 설치되어 있는지
- 앱 측에서 언어 설정이 개별적으로 필요한 경우, 메뉴나 설정 화면에서 일본어를 선택
- 시스템을 재시작하거나 로그아웃하여 설정이 반영되었는지 확인
7. 반영 확인 및 문제 해결
로케일 설정을 변경한 후에는 실제로 설정이 반영되었는지 확인합시다. 또한 의도대로 반영되지 않거나 문자 깨짐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의 대처 방법을 숙지하면 안심할 수 있습니다.로케일 설정 반영 확인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현재 로케일을 확인합니다.locale
명령 출력에 LANG=ja_JP.UTF-8
및 각 LC_*
항목이 “ja_JP.UTF-8”으로 표시되면, 일본어 로케일이 올바르게 적용된 것입니다. 또한, 사용 가능한 로케일 목록을 다시 확인하고 싶다면, 다시locale -a
를 실행하세요. 여기서 “ja_JP.UTF-8”가 포함되어 있으면 시스템에 일본어 로케일이 준비된 것입니다.날짜·숫자 표시 확인
로케일 설정에 따라 날짜와 숫자의 표시 형식도 변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 명령으로 날짜 표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date
출력 결과가 일본어로 표시되면 로케일이 올바르게 작동하고 있는 것입니다.
자주 발생하는 문제와 대책
1. 문자 깨짐이 발생하는 경우- 터미널이나 애플리케이션의 폰트 설정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sudo apt install fonts-noto-cjk
등으로 일본어 폰트를 설치합시다.
- 설정 후 로그아웃하거나 재시작합시다.
- 세션을 전환해도 반영되지 않을 경우,
source /etc/default/locale
명령으로 수동으로 다시 읽어들일 수 있습니다.
- 일부
LC_*
환경 변수가 설정되지 않았거나, 애플리케이션 고유의 설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sudo update-locale LC_ALL=ja_JP.UTF-8
를 추가함으로써 전체를 통일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 환경마다 절차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다음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
8. Docker/WSL 환경에서의 locale 설정
최근 Ubuntu는 Docker와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 등 가상 환경·컨테이너 환경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일반 Ubuntu와 마찬가지로 locale 설정이 중요하지만, 절차가 약간 다를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Docker 환경에서의 locale 설정
Docker 컨테이너에서 일본어 로케일을 사용하려면 Dockerfile 내에서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고 로케일을 생성하는 작업을 명시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FROM ubuntu:24.04
RUN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y language-pack-ja locales &&
locale-gen ja_JP.UTF-8 &&
update-locale LANG=ja_JP.UTF-8
ENV LANG=ja_JP.UTF-8
ENV LANGUAGE=ja_JP:ja
ENV LC_ALL=ja_JP.UTF-8
이 설정으로 컨테이너 내부에서도 일본어 로케일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환경 변수를 명시적으로 지정함으로써 일본어 지원을 확실히 할 수 있습니다。WSL 환경에서의 locale 설정
WSL은 Windows 위에서 Ubuntu 등 Linux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이지만, 일본어 로케일을 다루는 데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습니다. WSL에서도 일반 Ubuntu와 마찬가지로 아래 절차에 따라 설정합니다。- 필요한 패키지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language-pack-ja locales
- 일본어 로케일 생성 및 활성화
sudo locale-gen ja_JP.UTF-8
sudo update-locale LANG=ja_JP.UTF-8
.bashrc
와.profile
등에 아래와 같은 환경 변수를 추가함으로써 매번 로그인 시 일본어 로케일이 활성화됩니다。
export LANG=ja_JP.UTF-8
export LANGUAGE=ja_JP:ja
export LC_ALL=ja_JP.UTF-8
문자 깨짐 및 일본어 입력 문제 대책
- WSL에서는 Windows 측의 폰트 환경이나 터미널 소프트웨어(예: Windows Terminal)의 폰트 설정도 영향을 미칩니다. 일본어 표시를 지원하는 폰트를 선택하면 문자 깨짐이 해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Docker 환경에서는 최소 이미지만 사용하는 경우 폰트 패키지도 함께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
apt-get install fonts-noto-cjk
9. FAQ(자주 묻는 질문과 그 답변)
Ubuntu의 locale(로케일) 설정에 관해 자주 있는 의문과 실제로 많이 제기되는 질문에 답변합니다. 트러블 해결 및 운영 팁으로 활용해 주세요. Q1.locale -a
의 출력에 “ja_JP.UTF-8″이 없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일본어 로케일이 생성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다음 명령으로 “language-pack-ja”와 “locales” 패키지를 설치하고 로케일을 생성하십시오.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language-pack-ja locales
sudo locale-gen ja_JP.UTF-8
sudo update-locale LANG=ja_JP.UTF-8
이렇게 하면 다시 locale -a
를 실행하면 “ja_JP.UTF-8″가 표시될 것입니다. Q2. 로케일 설정을 변경했는데 반영되지 않습니다. 원인이 무엇인가요? A. 설정 변경 후에는 로그아웃·재로그인 또는 시스템 재시작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반영되지 않을 경우, 환경 변수가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etc/default/locale
및 ~/.pam_environment
의 내용을 다시 확인하십시오. Q3. 터미널이나 일부 앱에서 일본어가 깨져 보입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일본어 폰트가 설치되지 않은 것이 원인입니다. 다음 명령으로 폰트를 추가하세요.sudo apt install fonts-noto-cjk
또한 터미널 및 에디터의 폰트 설정도 일본어 지원 폰트로 변경하십시오. Q4. 여러 로케일이 혼재해 있는 경우, 어떤 설정이 우선 적용되나요? A. 기본적으로 “LC_ALL > LC_* > LANG” 순서로 적용됩니다.
전체를 일시적으로 통일하고 싶을 경우는,export LC_ALL=ja_JP.UTF-8
을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영구적인 설정은 /etc/default/locale
및 ~/.pam_environment
에 기록합니다. Q5. Docker나 WSL 환경에서도 일반 Ubuntu와 동일한 절차로 설정할 수 있나요? A. 기본 절차는 동일하지만, Docker에서는 Dockerfile에 로케일 생성 및 환경 변수 설정을 명시하고, WSL에서는 Windows 측 폰트 설정에도 주의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본 기사 해당 섹션을 참고하십시오. Q6. GUI에서 언어 설정을 했는데 일부만 영어 표기로 되는 이유는? A. 시스템 일부나 애플리케이션에 일본어 번역이 제공되지 않거나 개별 언어 설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설정 화면도 함께 확인하십시오. 이 FAQ들은 Ubuntu의 locale 설정에서 혼동하기 쉬운 포인트를 다룹니다。
추가로 개별 질문이나 특수한 경우가 있으면 댓글이나 지원 페이지에 문의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