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에서 VS Code 완전 정복: 설치·일본어화·추천 설정·개발 환경 구축 가이드

目次

1. 소개: 왜 Ubuntu에서 VS Code인가

Visual Studio Code(이하 VS Code)는 가볍지만 매우 고기능적인 소스 코드 편집기입니다. Microsoft가 제공하며, 오픈소스 요소와 높은 확장성 덕분에 전 세계 개발자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Windows와 macOS는 물론, Linux 계열 OS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큰 매력입니다. 그 중에서도 Ubuntu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자가 많은 Linux 배포판 중 하나입니다. 공식 장기 지원(LTS) 버전이 제공되어 안정성 및 보안 측면에서도 안심할 수 있습니다.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풍부한 패키지와 커뮤니티 지원도 받아 개인 개발부터 업무 활용까지 폭넓게 채택되고 있습니다. Ubuntu에서 VS Code를 이용하는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볍고 빠른 동작:저사양 머신이나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쾌적하게 동작
  • 풍부한 확장 기능:언어별 지원, Git 연동, 원격 개발 기능 등을 쉽게 추가할 수 있음
  • 크로스 플랫폼:서로 다른 OS 간에도 동일한 사용감으로 개발 가능
  • 공식 지원:Microsoft에서 Ubuntu용 공식 패키지를 제공하며, 업데이트도 용이
이 글에서는 Ubuntu 환경에 VS Code를 설치하는 방법부터, 일본어화, 개발 환경 설정, 원격 개발 및 컨테이너 사용까지 실용적인 절차를 순서대로 설명합니다. 처음 Ubuntu를 사용하는 사람도, 이미 다른 편집기에서 전환을 고려하고 있는 사람도, 이 글을 읽으면 가장 빠른 경로로 VS Code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年収訴求

2. 설치 방법 비교: Snap / apt(MS 리포지토리) / 공식 DEB

Ubuntu에 VS Code를 설치할 때, 주로 다음의 3가지 방법이 선택지입니다. 각각의 특징과 장점·단점을 비교하여 목적에 맞는 도입 방법을 선택합시다.

2‑1. Snap(소프트웨어 센터 또는 CLI)

특징
  • Ubuntu의 표준 패키지 관리 방식으로 널리 사용되는 “Snap” 포맷으로 배포됩니다.
  • Ubuntu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원클릭으로 설치 가능합니다.
  • 터미널에서 sudo snap install --classic code 를 실행하면 도입할 수 있습니다。
장점
  • GUI 조작으로 쉽게 입수 가능(초보자에게 도입이 용이)。
  • 자동 업데이트가 작동하므로, 안전성 및 최신 기능의 캐치업이 용이합니다。
단점
  • 오래된 방식과 다른 샌드박스 형태이기 때문에, IME나 테마와의 호환성 문제 보고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시작 및 응답에 약간의 오버헤드를 느낄 수도 있습니다。

2‑2. apt(Microsoft 공식 리포지토리 경유)

특징
  • Microsoft가 제공하는 APT 리포지토리를 이용해, apt로 VS Code를 관리하는 방법。
  • .deb 파일을 사용해 처음에 리포지토리를 등록하고, 이후에는 일반적인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code 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장점
  • 표준적인 APT 관리 하에 두어 시스템과 조화된 업데이트·관리가 가능합니다。
  • 일본어 입력 및 기타 기본 기능과의 호환성이 높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업데이트 제어가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습니다。
단점
  • 초기 설정에서 리포지토리 등록이 필요하므로, 약간 절차가 늘어납니다。
  • GUI 설치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약간 장벽이 높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Learn how to install Microsoft products on Linux using the p…

Technically Impossible

Ubuntuでのパッケージ・マネジャーと言えば”apt”だが、そのレポジトリでVSCodeは提供されていない。Ubunt…

2‑3. 공식 DEB 파일을 사용한 단일 설치

특징
  • Microsoft 공식 사이트에서 .deb 패키지를 직접 다운로드하여 도입。
  • sudo apt install ./code_*.deb 명령만으로 패키지와 의존 관계를 자동 해결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장점
  • 오프라인 환경이나 제한된 네트워크에서도 손쉽게 도입 가능。
  • 리포지토리 등록 없이 진행할 수 있어, 최초 도입만 간단히 마치고 싶을 때 유효。
단점
  • 초기 설치 후 자동으로 업데이트를 받으려면 수동으로 리포지토리 설정이 필요합니다。
  • Snap이나 공식 리포지토리 방식과 비교하면, 지속적인 운영에 약간의 수고가 필요합니다。

2‑4. 어떤 방법을 선택해야 할까? 선택 방법 흐름도

  • 편리함 / GUI 조작 중시 → Snap(Ubuntu 소프트웨어 센터)
  • 안정성 / 일본어 입력 및 확장성 중시 → apt(공식 리포지토리)
  • 설치만 하고 싶음 / 수고를 최대한 줄이고 싶음 → 공식 DEB(단일)
예를 들어, 일상적인 개발 환경으로 장기 운영하고 싶다면 “apt(MS 공식)”이 가장 균형이 좋고, 업데이트 관리도 간단합니다. 반면, 가볍게 시도해 보고 싶거나 새로운 환경에서 바로 시도하고 싶을 경우에는 “Snap”이 편리합니다. 인터넷 연결이 제한된 환경이나 검증용 도입이라면 “공식 DEB”가 도움이 됩니다. 이 비교를 바탕으로, 다음 섹션에서는 가장 추천하는 “공식 DEB→apt 연동” 설치 절차를 구체적인 명령 예와 함께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3. 절차 A: 공식 DEB→apt 연동 설치 (권장)

여기서는 Microsoft 공식이 권장하는 .deb 파일을 통한 설치를 수행하고, 동시에 APT 저장소를 등록하여 지속적으로 최신 버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방법은 일본어 입력의 안정성이 높고, Snap 버전에서 보고된 IME 호환성 문제를 회피하기 쉬운 점이 장점입니다.

3-1. 공식 사이트에서 DEB 파일을 가져오기

  1. 브라우저에서 Visual Studio Code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deb”(Debian, Ubuntu용) 버튼을 클릭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3-2. 터미널에서 설치

다운로드한 파일이 ~/다운로드에 있는 경우,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cd ~/다운로드
sudo apt install ./code_*.deb
  • apt install에 직접 .deb 파일을 전달함으로써, 필요한 의존 패키지도 자동으로 해결됩니다.
  • 이 절차를 수행하면, 동시에 Microsoft의 APT 저장소가 등록됩니다.

3-3. 설치 확인

다음 명령으로 버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de --version
또는 앱 메뉴에서 “Visual Studio Code”를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3-4. 업데이트 방법

APT 저장소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앞으로는 일반 시스템 업데이트와 함께 업데이트됩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upgrade

3-5. 제거 방법(참고)

삭제하려면, 아래 명령을 실행합니다。
sudo apt remove code
sudo apt autoremove
이 방법을 사용하면, 한 번 설정해 두면 번거로움 없이 최신 VS Code를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단계 B: Snap으로 설치 (GUI/CLI)

Snap은 Ubuntu 표준 패키지 배포 형식으로, 소프트웨어 센터(GUI)에서 도입하거나 명령줄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초보자나 세부 설정 없이 빠르게 도입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4-1. 소프트웨어 센터(GUI)에서 설치

  1. ‘애플리케이션’ 메뉴에서 Ubuntu 소프트웨어를 엽니다.
  2. 검색창에 “Visual Studio Code” 또는 “code”를 입력합니다.
  3. 표시된 “Visual Studio Code”를 선택하고, “설치” 버튼을 클릭합니다.
  4.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설치가 완료됩니다.

4-2. 명령줄(CLI)에서 설치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을 입력합니다.
sudo snap install --classic code
  • --classic 옵션은 Snap 패키지에 일반 파일 시스템 접근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 몇 분 안에 다운로드와 설치가 완료됩니다.

4-3. 설치 확인

code --version
또는 앱 메뉴에서 “Visual Studio Code”를 실행합니다.

4-4. 업데이트와 삭제

  • Snap 버전은 자동 업데이트되므로, 기본적으로 수동 업데이트가 필요 없습니다.
  • 삭제하려면 아래를 실행합니다.
sudo snap remove code

4-5. Snap 버전의 주의점

  • 일본어 입력: 일부 환경이나 IME 설정에 따라 Snap 버전에서 입력 오류가 보고되었습니다. 발생하면 앞서 언급한 DEB→APT 방식으로 전환하면 개선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시작 속도: Snap의 샌드박스 구조 때문에 최초 실행 시 약간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초기 설정: 일본어화·폰트·표시 조정

VS Code를 Ubuntu에 설치하면, 먼저 하고 싶은 것이 일본어화보기 쉬운 표시 환경 정비입니다. 이 단계에서 확실히 설정해 두면, 이후 개발 작업이 원활해집니다.

5-1. 일본어화(Japanese Language Pack 도입)

  1. VS Code를 실행하고, 왼쪽의 확장 기능 아이콘(사각형이 배열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검색 바에 Japanese Language Pack을 입력합니다。
  3. 표시된 확장 기능 “Japanese Language Pack for Visual Studio Code”를 설치합니다。
  4. 설치 후, 오른쪽 아래에 표시되는 “언어를 변경하시겠습니까?” 팝업에서 [Change Language]를 클릭합니다。
  5. 재시작하면, VS Code 전체가 일본어 표시가 됩니다。
수동 전환인 경우는, Ctrl+Shift+P(또는 F1)로 명령 팔레트를 열고, Configure Display Language를 입력한 뒤 ja를 선택합니다。

5-2. 폰트 설정

프로그래밍에서는 전각과 반각의 구분이 명확하고, 가독성이 높은 고정폭 폰트를 추천합니다。
  1. 메뉴에서 [파일] → [기본 설정] → [설정]을 엽니다。
  2. 검색 바에「font family」를 입력합니다。
  3. 선호하는 폰트(예: Cascadia Code, Fira Code, Noto Sans Mono CJK JP)를 설정합니다。
Ligature 지원 폰트를 사용하면, =>===가 시각적으로 보기 쉬워집니다。

5-3. 표시 조정(테마와 아이콘)

  • 테마 변경: Ctrl+KCtrl+T로 테마 선택기를 열고, 선호하는 컬러 스킴을 선택합니다。
  • 아이콘 테마: Ctrl+Shift+PFile Icon Theme으로 아이콘 세트를 변경합니다. 파일 종류를 구분하기 쉬워집니다。

5-4. 권장 추가 초기 설정

  • 행 번호 표시: editor.lineNumberson으로 설정합니다。
  • 저장 시 자동 포맷: editor.formatOnSave를 활성화합니다。
  • 자동 저장: files.autoSaveafterDelay로 설정합니다(짧은 지연 시간으로 자동 저장)。
이제 기본적인 작업 환경이 정비되었습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필수 확장 기능과 설정 예시”를 소개합니다。

6. 자주 사용하는 확장 및 기본 설정 (처음 10분에 정리)

VS Code의 매력 중 하나는 필요한 기능을 확장 기능(Extensions)으로 쉽게 추가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여기서는 Ubuntu 환경에서 개발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 직후에 넣어두면 좋은 확장 기능과 함께 설정해 두어야 할 기본 항목을 소개합니다。

6-1. 필수급 확장 기능

  1. Japanese Language Pack for Visual Studio Code
  • 일본어 표시를 위한 필수 확장. 이전 섹션에서 설명되었습니다。
  1. Python
  • Python 개발에 필수. Lint(코드 품질 검사)와 자동 완성, 디버그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Jupyter 확장과 결합하면 노트북 형태로 개발도 가능。
  1. C/C++
  • C 언어와 C++의 코드 자동 완성, 디버그, 구문 강조 등을 제공。
  • build-essential 패키지와 함께 사용한다。
  1. GitLens
  • Git의 히스토리와 차이를 시각적으로 표시. 팀 개발 및 히스토리 추적에 매우 유용。
  1. Remote Development Pack
  • SSH 대상이나 Docker 컨테이너, WSL에서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 팩。
  • 이후 “원격 개발” 섹션에서도 자세히 설명。
  1. Prettier – Code Formatter
  • 코드 포맷을 자동으로 정리해 주는 확장. JavaScript/TypeScript 및 HTML/CSS도 지원。

6-2. 처음에 설정해 두고 싶은 항목

  • 저장 시 자동 정렬
  "editor.formatOnSave": true
→ 코드를 작성하면 저장과 동시에 포맷되어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탭 너비와 들여쓰기 설정
  "editor.tabSize": 4,
  "editor.insertSpaces": true
→ 팀의 코딩 규약에 맞게 설정합니다。
  • 파일 끝의 개행
  "files.insertFinalNewline": true
  • 행 번호 표시
  "editor.lineNumbers": "on"
  • 불필요한 공백 자동 삭제
  "files.trimTrailingWhitespace": true

6-3. 설정 동기화 (Settings Sync) 활성화

VS Code 계정(Microsoft 또는 GitHub)으로 로그인하고 Settings Sync를 켜면, 여러 PC나 재설치 후에도 설정 및 확장 기능이 자동으로 동기화됩니다。 이 단계에서 개발에 필요한 기본 기능은 거의 모두 갖추어집니다。

7. 언어별 미니 환경 구축

이제부터 Ubuntu에서 VS Code를 사용할 때 수요가 높은 PythonC/C++ 개발 환경을 최소한의 단계로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설치 직후의 VS Code에 이러한 설정을 추가하면 바로 실용적인 개발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7-1. Python 환경 구축

  1. Python 본체와 가상 환경 도구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python3 python3-venv python3-pip
  • python3-venv 은 프로젝트별 의존성을 분리하기 위한 가상 환경 기능입니다.
  • pip 은 패키지 관리 도구입니다.
  1. VS Code 확장 도입
  • “Python” 확장을 설치합니다(Microsoft 공식).
  • 필요에 따라 “Jupyter” 확장도 추가하여 노트북 형태의 실행 환경을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1. 가상 환경 생성 및 활성화
   python3 -m venv .venv
   source .venv/bin/activate
VS Code는 확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가상 환경을 감지하고 인터프리터 선택 메뉴에 표시합니다.
  1. Lint/Format 설정(예: ruff와 black)
   pip install ruff black
VS Code 설정에서 저장 시 black으로 포맷하고 ruff로 정적 분석이 수행되도록 합니다.

7-2. C/C++ 환경 구축

  1. 컴파일러와 필수 패키지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build-essential gdb
  • gcc / g++ 컴파일러와 gdb 디버거가 포함됩니다.
  1. VS Code 확장 도입
  • “C/C++” 확장(Microsoft 공식)을 설치합니다.
  • 필요에 따라 “CMake Tools”도 추가합니다.
  1. 빌드 작업 설정
  • 프로젝트 폴더에서 Ctrl+Shift+P → “Tasks: Configure Default Build Task”에서 g++ build active file을 선택합니다.
  • 이렇게 하면 Ctrl+Shift+B로 현재 열려 있는 C/C++ 파일을 빌드할 수 있게 됩니다.
  1. 디버그 설정 추가
  • F5 → “C++ (GDB/LLDB)”를 선택합니다.
  • .vscode/launch.json이 생성되고, 브레이크포인트와 변수 감시를 이용한 디버깅이 가능해집니다.

7-3. 확인 및 동작 테스트

Python인 경우
print("Hello, Python on Ubuntu!")
C++인 경우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cout << "Hello, C++ on Ubuntu!" << endl;
    return 0;
}
저장 후, C++는 Ctrl+Shift+B로 빌드하고, 생성된 실행 파일을 실행하여 동작을 확인합니다. 이제 Python과 C/C++의 기본 개발 환경이 준비되었습니다.

8. 원격 개발: Remote SSH / Dev Containers / Codespaces

VS Code는 로컬 머신뿐만 아니라 원격 서버컨테이너 환경에서도 편리하게 개발할 수 있는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Ubuntu를 사용할 경우, 이를 조합함으로써 개발 환경의 유연성과 재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8-1. Remote SSH

개요 원격 서버에 있는 코드를 로컬 VS Code에서 직접 편집·실행할 수 있는 기능. 서버에 VS Code 서버를 실행하고, 파일 작업 및 터미널 작업을 로컬과 동일한 감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절차
  1. Remote Development Pack 확장을 설치합니다(“Remote – SSH” 포함).
  2. ~/.ssh/config에 연결 정보을 추가합니다. 예:
   Host myserver
       HostName 192.168.0.50
       User ubuntu
       IdentityFile ~/.ssh/id_rsa
  1. Ctrl+Shift+P → “Remote-SSH: Connect to Host” → myserver를 선택합니다.
장점
  • 서버에 직접 로그인하지 않아도 VS Code에서 코드 편집·실행·디버깅이 가능합니다.
  • 로컬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고, 서버 의존 개발이 가능합니다.

8-2. Dev Containers

개요 Docker 컨테이너를 VS Code의 개발 환경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능. 개발 환경 구성을 .devcontainer 폴더에 기술하면, 누구나 동일한 설정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절차
  1. Docker와 Docker Compose를 Ubuntu에 설치합니다.
  2. VS Code에 “Dev Containers” 확장을 설치합니다.
  3. 프로젝트 폴더 바로 아래에 .devcontainer/devcontainer.json을 생성하고, 개발 환경 구성을 기술합니다. 예:
   {
       "name": "Python Dev",
       "image": "python:3.11",
       "features": {},
       "settings": {
           "terminal.integrated.shell.linux": "/bin/bash"
       }
   }
  1. Ctrl+Shift+P → “Dev Containers: Reopen in Container”로 개발을 시작합니다.
장점
  • 프로젝트마다 다른 의존 패키지와 툴체인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습니다.
  • 팀 전체가 동일한 환경에서 개발할 수 있어 동작 재현성이 높습니다.

8-3. GitHub Codespaces

개요 GitHub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상의 VS Code 환경. 브라우저에서 접근 가능하며, PC에 환경 구축이 필요 없이 즉시 개발할 수 있습니다. 절차
  1. GitHub 리포지토리에 접근하고, “Code” → “Codespaces” → “New codespace”를 클릭합니다.
  2. 수십 초 안에 클라우드 상에 개발 환경이 구축되어, 브라우저 내에서 VS Cod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필요에 따라 로컬 VS Code에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장점
  • 저사양 PC나 모바일에서도 본격적인 개발이 가능합니다.
  • 네트워크 환경만 있으면 어디서든 동일한 환경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격 개발 기능을 사용하면, 로컬 PC의 성능이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유연하게 개발 스타일을 전환할 수 있습니다.

9. 자주 발생하는 문제와 대처

VS Code를 Ubuntu에서 사용할 때는 환경이나 설치 방법에 따라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비교적 발생 빈도가 높고 질문이 많은 오류와 그 해결책을 정리합니다.

9-1. 일본어 입력이 안 되거나 변환이 불안정

원인
  • Snap 버전 VS Code에서 IME(일본어 입력 시스템)와의 호환성 문제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샌드박스 환경 내에서 입력 메서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해결책
  • Snap 버전을 제거하고 공식 DEB 버전(APT 연동)으로 재설치합니다。
  • 필요에 따라 fcitxibus를 재설정합니다。

9-2. 시작이 느리거나 동작이 무거움

원인
  • Snap 버전의 샌드박스 초기화 처리나 확장 기능 로드에 시간이 오래 걸릴 가능성。
  • 불필요한 확장이 대량으로 활성화되어 있음。
해결책
  • 시작 옵션 code --disable-extensions 로 확장을 비활성화하고 실행하여 문제 확장을 식별하고 삭제합니다。
  • Snap 버전을 DEB 버전으로 전환하면 개선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9-3. 특정 확장이 동작하지 않음

원인
  • Ubuntu 버전이나 라이브러리 의존 관계가 부족함。
  • 컨테이너나 원격 환경에서 권한 부족이 발생함。
해결책
  • 터미널에서 sudo apt install 명령을 사용해 필요한 의존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 권한 오류인 경우, 확장이 필요로 하는 경로의 접근 권한을 확인합니다。

9-4. Wayland 환경에서 표시 및 입력이 불안정

원인
  • VS Code는 XWayland를 통해 동작하는 경우가 많아 Wayland 네이티브 호환성이 아직 완전하지 않음。
해결책
  • 로그인 화면에서 세션을 Xorg로 전환하여 실행합니다。
  • 또는 시작 시 다음과 같이 지정:
  code --ozone-platform=x11

9-5. 완전히 제거하고 싶음

해결책
  • DEB 버전:
  sudo apt remove code
  sudo apt autoremove
  rm -rf ~/.config/Code
  • Snap 버전:
  sudo snap remove code
  rm -rf ~/.config/Code
이러한 트러블슈팅을 파악해 두면 작업이 중단될 때에도 바로 복구할 수 있습니다.

10. 보안 및 업데이트 정책

Ubuntu에서 VS Code를 장기 운영하는 경우, 안전성 확보최신 기능 유지는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여기서는 설치 방법별 업데이트 동작의 차이와 보안 측면에서 유의해야 할 포인트를 설명합니다.

10-1. 설치 방식별 업데이트 동작

  1. APT(공식 리포지토리) 버전
  • Microsoft 공식 APT 리포지토리가 등록되므로,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로 OS 업데이트와 동시에 최신 버전이 반영됩니다.
  • 업데이트 내용에는 보안 수정 및 새로운 기능이 포함되어, 안정성과 최신성의 균형이 좋습니다.
  1. Snap 버전
  • Snapd가 자동 업데이트를 수행하여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조작 없이 최신화됩니다.
  • 다만, 자동 업데이트 시점은 Snapd의 스케줄에 의존하므로 바로 반영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1. DEB 단일 설치 버전(리포지토리 미등록)
  • 자동 업데이트되지 않습니다.
  • 새 버전이 필요할 경우 공식 사이트에서 수동으로 다운로드 및 재설치해야 합니다.

10-2. 보안상의 주의점

  • 신뢰할 수 있는 소스에서 입수하기
  • 반드시 공식 사이트 또는 Microsoft 공식 리포지토리에서 다운로드하십시오.
  • 비공식 PPA나 제3자 배포 패키지는 변조 및 악성코드 포함 위험이 있습니다.
  • 확장 기능 선택
  • 배포원 및 리뷰 평점을 확인하고, 알 수 없는 배포원의 확장은 피하십시오.
  • 오랫동안 업데이트되지 않은 확장은 취약점이 방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권한 관리
  • Remote SSH나 Dev Containers 등 원격 기능을 사용할 때는 연결 대상의 권한 및 공개키 관리를 엄격히 수행하십시오.
  • Docker 환경을 이용할 경우 불필요한 포트 공개나 root 권한 컨테이너의 지속 사용을 피하십시오.

10-3. 업데이트 시점의 기준

  • 안정적인 운영이 필요한 경우: LTS 버전 Ubuntu의 업데이트 일정에 맞추어, 몇 주마다 한 번씩 모아서 업데이트합니다.
  • 새 기능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싶은 경우: 주 1회 정도 업데이트 확인으로 최신 빌드를 적용합니다.
  • Snap 버전 사용 시: 자동 업데이트에 맡기되, 문제가 발생하면 수동으로 롤백(sudo snap revert code)도 고려합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면 VS Code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11. 요약: 가장 빠르게 “사용 가능한” Ubuntu×VS Code 환경을

여기까지 Ubuntu에서 VS Code 설치 방법부터 초기 설정, 언어별 환경 구축, 원격 개발, 문제 해결, 보안까지 전반적으로 설명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실용적인 개발 환경을 가장 빠르게 갖추기 위한 흐름을 정리합니다.

11-1. 가장 빠른 구축 단계

  1. 설치
  • 안정성 및 업데이트 용이성을 중시한다면 공식 DEB → APT 연동을 선택합니다.
  • 가볍게 시도하고 싶다면 Snap 버전도 OK(단, 일본어 입력 호환성에 주의).
  1. 초기 설정
  • Japanese Language Pack을 도입해 일본어화합니다.
  • 폰트와 테마를 취향에 맞게 조정합니다.
  • 저장 시 자동 포맷 및 행 번호 표시 등 최소한의 에디터 설정을 활성화합니다.
  1. 필수 확장 도입
  • Python, C/C++, GitLens, Remote Development Pack, Prettier 등.
  • Settings Sync를 활성화하여 여러 장치에서도 동일한 환경을 재현합니다.
  1. 개발 언어 설정
  • Python: python3-venv와 확장을 설치하고, Lint/Format 설정을 정비합니다.
  • C/C++: build-essential와 확장을 설치하고, 빌드·디버그 설정을 만듭니다.
  1. 원격 개발 환경 구축
  • Remote SSH를 사용해 서버상의 코드를 직접 편집합니다.
  • Dev Containers로 프로젝트별로 환경을 분리합니다.
  • 필요에 따라 GitHub Codespaces로 클라우드 개발을 합니다.
  1. 보안 및 업데이트 관리
  • 공식 배포처만 이용하고, 확장은 신뢰할 수 있는 것에 한정합니다.
  • 정기적으로 apt upgrade 또는 Snap 업데이트 확인을 수행합니다.

11-2. 본 기사 활용법

  • Ubuntu를 처음 사용하는 분은, 본 기사 순서대로 설정하면 1시간 이내에 실용 개발 환경이 갖춰집니다.
  • 이미 다른 에디터를 사용하고 있는 분은, VS Code의 강력한 확장 기능과 원격 개발 기능을 활용해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문제가 발생해도 9장의 대처법을 보면 즉시 복구가 가능합니다.

FAQ(자주 묻는 질문 모음)

Q1. Snap 버전과 APT 버전, 어느 것을 사용해야 할까요? A. 장기 운영 및 안정성을 중시한다면 APT 버전(공식 DEB 경유)을 권장합니다. 업데이트를 시스템 업데이트와 함께 수행할 수 있어 관리가 간편합니다. 단기적으로 시험해 보는 것이라면 Snap 버전도 괜찮지만, 일본어 입력이나 실행 속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Q2. 일본어화는 어떻게 하면 될까요? A. “Japanese Language Pack for Visual Studio Code”를 확장 기능에서 설치하고, Configure Display Language에서 ja를 선택한 뒤 재시작하십시오. 이렇게 하면 UI 전체가 일본어화됩니다. Q3. 일본어 입력이 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A. Snap 버전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IME와의 호환성 문제 때문일 수 있습니다. 공식 DEB 버전으로 전환하면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ibusfcitx의 재설정도 확인하십시오. Q4. Python 개발을 시작하려면 무엇이 필요합니까? A. sudo apt install python3 python3-venv python3-pip로 본체와 가상 환경 도구를 설치하고, VS Code에 “Python” 확장을 추가합니다. 가상 환경을 만든 후 인터프리터를 선택하면 준비가 완료됩니다. Q5. C/C++ 빌드가 되지 않습니다. A. sudo apt install build-essential gdb로 컴파일러와 디버거를 설치하고, VS Code에서 “C/C++” 확장을 활성화하십시오. tasks.json을 설정하면 Ctrl+Shift+B로 빌드할 수 있습니다. Q6. Remote SSH를 사용하려면? A. “Remote Development Pack”을 설치하고, ~/.ssh/config에 연결 정보를 기록합니다. 명령 팔레트에서 “Remote-SSH: Connect to Host”를 선택하고, 등록한 호스트를 선택하면 연결할 수 있습니다. Q7. Dev Containers란 무엇인가요? A. Docker 컨테이너를 개발 환경으로 활용하는 기능입니다. .devcontainer/devcontainer.json에 설정을 기록하면 프로젝트를 완전히 분리된 환경에서 열 수 있습니다. 팀 개발이나 다중 프로젝트 전환에 편리합니다. Q8. 업데이트 빈도는 어느 정도가 좋나요? A. 안정성을 중시한다면 LTS 버전 Ubuntu의 업데이트 주기에 맞춰 몇 주마다, 새로운 기능을 시험해 보고 싶다면 주 1회 정도의 업데이트를 권장합니다. Snap 버전은 자동 업데이트되지만, APT 버전은 수동으로 apt upgrade를 수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