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에서 IP 주소 설정 방법 | 초보자 가이드【동적·정적 설정】

1. 소개

Ubuntu에서 IP 주소 설정은 네트워크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특히 서버나 특정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 적절한 IP 주소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Ubuntu에서 IP 주소 확인 방법부터 동적·정적 설정까지,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IP 주소 설정을 확실히 이해하고, Ubuntu의 네트워크 환경을 정비합시다.

2. IP 주소의 기본 지식

IP 주소는 인터넷이나 LAN(로컬 에리어 네트워크)에서 장치 간 통신 시 사용되는 고유의 주소입니다.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IP 주소에는 IPv4와 IPv6 두 종류가 있습니다.

IPv4와 IPv6의 차이

  • IPv4: 32비트 주소로, 일반적으로 「192.168.1.1」과 같이 10진수로 표현됩니다. IPv4는 오랫동안 인터넷의 표준 주소로 사용되어 왔지만, 주소 수가 고갈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IPv6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 IPv6: 128비트 주소로,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와 같이 표기되며, 주소 수가 매우 많아 향후 고갈될 가능성이 낮다고 여겨집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주로 IPv4를 중심으로 Ubuntu에서 IP 주소 설정 방법을 설명합니다.

3. Ubuntu에서 IP 주소 확인 방법

IP 주소를 설정하기 전에, 먼저 현재 IP 주소를 확인해 둡시다. Ubuntu에서는 명령줄이나 GUI 어느 쪽에서도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을 사용한 확인 방법

터미널에 아래 명령을 입력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IP 주소 정보가 표시됩니다。
ip address
이 명령을 실행하면, 각 인터페이스(예: eth0, wlan0)에 할당된 IP 주소가 목록으로 표시됩니다.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는 설정 및 트러블슈팅에도 도움이 됩니다。

GUI를 사용한 확인 방법

GUI에서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화면 오른쪽 상단의 네트워크 아이콘을 클릭하고, “설정”을 선택합니다。
  2. “네트워크” 메뉴에서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세부 정보”를 클릭합니다。
  3.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등의 상세 정보가 표시됩니다。
이 방법은 초보자라도 쉽게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어 추천합니다。

4. 동적 IP 주소 설정 (DHCP)

Ubuntu에서는 기본적으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를 사용하여 동적 IP 주소가 할당됩니다. 이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netplan을 사용한 설정 절차

Ubuntu 18.04 이후에서는 네트워크 설정에 netplan이 도입되었습니다. 설정 파일을 아래 절차대로 편집함으로써 동적 IP 주소 설정이 가능합니다.
  1. 설정 파일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일반적으로 /etc/netplan/01-netcfg.yaml 등 파일이 사용됩니다。</li? Actually we need to keep punctuation Korean style: “일반적으로 /etc/netplan/01-netcfg.yaml 등 파일이 사용됩니다.”
  2. 아래와 같이 netplan 파일을 편집합니다。
   network:
     version: 2
     ethernets:
       eth0:
         dhcp4: true
  1. 설정을 적용합니다。
   sudo netplan apply

설정 파일의 위치와 편집 방법

설정 파일은 /etc/netplan/ 디렉터리 내에 저장됩니다. 편집할 때는 반드시 백업을 만든 후 진행합시다. 설정을 적용할 때 오류 메시지가 나타나면, 설정 내용을 다시 확인하십시오.

5. 정적 IP 주소 설정

동적 IP 주소가 아니라 특정 IP 주소를 항상 사용하고 싶을 경우, 정적 IP 주소를 설정합니다.

netplan을 사용한 설정 절차

  1. 설정 파일을 아래 내용으로 편집합니다.
   network:
     version: 2
     ethernets:
       eth0:
         dhcp4: no
         addresses:
           - 192.168.1.100/24
         gateway4: 192.168.1.1
         nameservers:
           addresses: [8.8.8.8, 8.8.4.4]
  1. 설정을 저장하고, netplan apply로 적용합니다.
  2. 이렇게 하면, 지정한 정적 IP 주소가 할당됩니다.

GUI를 사용한 설정 절차

GUI를 사용하는 경우, 네트워크 설정 화면에서 “수동” 설정을 선택하고, IP 주소와 게이트웨이, DNS 서버를 직접 입력합니다.

6. 설정 변경 시 주의사항

IP 주소 설정을 변경할 때는 몇 가지 주의점이 있습니다.

설정 파일 백업

설정 파일을 편집하기 전에 반드시 백업을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는 설정 실수로 인한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설정 적용 후 네트워크 연결 확인

설정을 적용한 후, 다시ip address 명령으로 새로운 IP 주소가 반영되었는지 확인합시다. 연결이 끊기는 경우 설정 내용에 오류가 없는지 다시 확인해 주세요.

설정 실수로 인한 연결 불량 시 대처 방법

설정 실수로 인해 연결 불량이 발생한 경우 백업한 파일로 복원하고,netplan apply 명령으로 다시 적용합니다. 또한journalctl을 사용해 오류 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7. 자주 묻는 질문(FAQ)

설정이 반영되지 않을 경우 대처 방법

netplan apply로 설정이 반영되지 않을 경우, 파일의 들여쓰기와 구문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netplan의 오류 해결 방법

sudo journalctl -xe를 사용하여 오류 로그를 확인함으로써, 오류의 상세 내용을 파악합니다. 특히, YAML 포맷 오류는 일반적인 오류 원인입니다.

여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진 경우 설정 방법

여러 인터페이스에 서로 다른 설정을 적용하고 싶을 경우, 각 인터페이스별로 설정을 나누어 작성합니다. 예를 들어, eth0eth1이 있는 경우, 각각의 설정을 구분하여 netplan 파일에 기록합니다.

8. 요약

이상으로 Ubuntu에서 IP 주소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동적 IP 주소 설정부터 정적 IP 주소 설정까지 단계별로 진행함으로써 Ubuntu 환경에서 네트워크 관리를 보다 쉽게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