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1. 소개
Ubuntu에서 네트워크 설정이 필요해지는 경우는?
Ubuntu는 데스크톱 용도부터 서버 운영까지 폭넓게 사용되는 인기 있는 Linux 배포판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네트워크는 자동으로 설정되지만, 수동으로 네트워크 설정을 해야 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서버로 운영할 경우 고정 IP 주소 설정
- DNS 서버를 수동으로 지정하고 싶은 경우
- VPN 등 특수한 네트워크 구성이 필요한 경우
- GUI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CLI로 설정하는 경우
Ubuntu의 네트워크 설정은 약간 복잡할까?
예전 Ubuntu에서는/etc/network/interfaces
라는 설정 파일을 편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현재는 Netplan이라는 새로운 방식이 표준이 되었으며, GUI 환경에서는 NetworkManager가 많이 사용됩니다. 이로 인해 “어떤 방법으로 설정해야 할까?” 고민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GUI로 간편하게 설정하고 싶은 초보자
- 명령줄에서 자유롭게 조작하고 싶은 중급·고급 사용자
- 클라우드 및 서버 용도로 최소한의 구성을 원하는 관리자
이 기사에서 알 수 있는 내용
이 기사에서는 Ubuntu의 네트워크 설정을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괄적으로 소개합니다:- GUI(NetworkManager)와 CLI(Netplan, nmcli) 모두의 설정 절차
- 유선 LAN·Wi-Fi 연결 방법
- 고정 IP 주소 설정 방법
- DNS 서버 지정 및 VPN 연결 방법
- 자주 발생하는 네트워크 문제 해결 방법
- 네트워크 설정에 관한 FAQ
2. Ubuntu 네트워크 설정의 작동 방식
Ubuntu에서의 네트워크 관리 기본 구조
Ubuntu에서는 네트워크 설정 및 관리를 NetworkManager 또는 Netplan을 통해 수행합니다. 사용하는 버전과 용도(데스크톱인지 서버인지)에 따라 사용되는 도구가 달라지는 것이 특징입니다.데스크톱 환경에서는 NetworkManager가 주류
Ubuntu Desktop(예: Ubuntu 22.04 LTS) 등 GUI를 갖춘 버전에서는 NetworkManager가 네트워크 설정을 관리합니다. 이는 그래픽으로 조작할 수 있는 편리한 도구로, 초보자도 직관적으로 네트워크 설정이 가능합니다. NetworkManager에는 다음과 같은 기능이 있습니다:- 유선/무선 네트워크 자동 연결
- IP 주소 수동 설정
- DNS 및 프록시 관리
- VPN 연결 관리
nmcli
와 nmtui
도 제공됩니다. 이를 통해 GUI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설정이 가능합니다.서버 용도에서는 Netplan이 채택되고 있습니다
반면, GUI가 없는 Ubuntu Server 등 구성에서는 Netplan이라는 새로운 네트워크 설정 시스템이 채택됩니다. Netplan은 설정 내용을 YAML 형식 파일에 기록하고netplan apply
로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Netplan이 도입된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습니다:- 설정 파일을 일원화 관리하기 쉽다
- 인프라 자동화 도구(Ansible 등)와 호환성이 좋다
- systemd와의 연계가 우수하며, 최신 구성을 지원한다
/etc/network/interfaces
는 비권장
Ubuntu에서는 이전에 네트워크 설정에 사용되던 /etc/network/interfaces
가 현재 대부분의 환경에서 비권장되고 있습니다. 이 파일은 오래된 버전(Ubuntu 16.04 이전)이나 일부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됩니다. 현재는 Netplan의 YAML 구성 파일(예: /etc/netplan/01-netcfg.yaml
)이 표준입니다.3. Ubuntu에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법
Ubuntu에서 인터넷에 연결하려면 GUI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과 명령줄(CLI)을 사용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어느 방법이든 유선 LAN이나 Wi‑Fi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작업 절차를 설명합니다.GUI를 사용한 네트워크 연결(NetworkManager)
유선 LAN 연결
유선 LAN은 보통 케이블을 연결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인식·연결됩니다. 그러나 IP 주소를 수동으로 설정하고 싶을 경우, 아래 절차를 따릅니다。- 화면 오른쪽 상단의 네트워크 아이콘을 클릭
- ‘유선 연결’ → ‘설정’을 선택
- ‘IPv4’ 탭을 엽니다
- ‘자동(DHCP)’을 ‘수동’으로 변경
- IP 주소, 서브넷, 게이트웨이, DNS를 입력
- 저장하고 적용
Wi‑Fi 연결
Wi‑Fi 연결도 매우 간단합니다. 아래 절차로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아이콘을 클릭
- 사용 가능한 Wi‑Fi 네트워크 목록이 표시됩니다
- 연결하려는 SSID를 선택
-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연결
CLI(명령줄)를 사용한 네트워크 연결
GUI를 사용할 수 없는 서버 환경이나 SSH로 원격 조작하는 경우에는 CLI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주로nmcli
라는 명령을 사용합니다。유선 연결 확인 및 활성화
nmcli device status
nmcli device connect enp0s3
Wi‑Fi에 연결하는 절차
nmcli device wifi list
nmcli device wifi connect "SSID 이름" password "비밀번호"
연결 상태 확인
nmcli connection show --active
GUI와 CLI 모두를 파악해 두면 모든 Ubuntu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4. 고정 IP 주소 설정 방법
Ubuntu에서 서버 운영이나 특정 통신 환경을 구축할 때는 고정 IP 주소(스태틱 IP) 설정이 필요합니다. 여기서는 GUI(NetworkManager)를 이용한 방법과 CLI(Netplan)를 이용한 방법을 모두 소개합니다.GUI로 고정 IP를 설정하는 방법(NetworkManager)
Ubuntu 데스크톱 환경에서는 네트워크 설정을 그래픽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아래 절차대로 고정 IP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설정 절차
- 화면 오른쪽 상단의 네트워크 아이콘을 클릭
- ‘설정’ 또는 ‘연결된 네트워크’를 선택
- ‘IPv4’ 탭으로 전환
- ‘자동(DHCP)’을 ‘수동’으로 변경
- ‘주소’ 항목에 아래 정보를 입력
- IP 주소(예: 192.168.1.100)
- 네트마스크(예: 255.255.255.0)
- 게이트웨이(예: 192.168.1.1)
- 필요에 따라 DNS(예: 8.8.8.8 등)를 지정
- ‘저장’ 버튼을 눌러 재연결
CLI로 고정 IP를 설정하는 방법(Netplan)
Ubuntu Server 등 GUI가 없는 환경에서는 Netplan을 사용해 설정합니다. Netplan은 YAML 형식의 설정 파일에 정보를 기록한 뒤 명령으로 적용합니다.1. 설정 파일 위치 확인
보통 아래 중 하나에 설정 파일이 있습니다:/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etc/netplan/01-netcfg.yaml
2. YAML 파일 편집 예시
network:
version: 2
renderer: networkd
ethernets:
enp0s3:
dhcp4: no
addresses:
- 192.168.1.100/24
gateway4: 192.168.1.1
nameservers:
addresses: [8.8.8.8, 1.1.1.1]
※enp0s3
은 환경에 따라 다릅니다.ip a
명령으로 확인해 주세요.
3. 설정 반영
sudo netplan apply
설정 확인 및 문제 발생 시 대처
설정 후 올바르게 반영됐는지는 아래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ip a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을 경우, ping
명령으로 게이트웨이와 외부 DNS에 통신할 수 있는지 시험해 보세요。ping 8.8.8.8
5. DNS 서버 변경 방법
Ubuntu에서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이름 해석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 DNS 서버 설정을 재검토하는 것이 유효합니다. 또한, 사내 네트워크나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환경에서는 지정된 DNS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GUI(NetworkManager)와 CLI(Netplan)에서 DNS 서버를 변경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GUI에서 DNS 서버를 지정하는 방법
Ubuntu 데스크톱에서 DNS 설정을 변경하려면, 다음 절차를 수행합니다.절차:
- 오른쪽 위의 네트워크 아이콘을 클릭
- ‘설정’ 또는 ‘Wi‑Fi/유선 연결’을 엽니다
- ‘IPv4’ 또는 ‘IPv6’ 탭을 선택
- ‘DNS’ 항목에 수동으로 DNS 주소를 입력 (예:
8.8.8.8, 1.1.1.1
) - ‘자동 DNS 사용’ 체크를 해제 (Ubuntu 버전에 따라 자동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음)
- 저장하고 네트워크를 재연결
dig www.google.com
또는systemd-resolve --status
CLI에서 DNS를 변경하는 방법(Netplan)
서버 등에서 Netplan을 사용하는 경우, DNS 지정도 YAML 파일 내에서 수행합니다。1. 설정 파일을 연다
sudo nano /etc/netplan/01-netcfg.yaml
2. 예: DNS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network:
version: 2
renderer: networkd
ethernets:
enp0s3:
dhcp4: no
addresses:
- 192.168.1.100/24
gateway4: 192.168.1.1
nameservers:
addresses:
- 8.8.8.8
- 1.1.1.1
3. 설정을 반영한다
sudo netplan apply
4. DNS 상태를 확인한다
resolvectl status
또는,cat /etc/resolv.conf
※ resolv.conf
는 심볼릭 링크이며, 직접 편집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설정은 반드시 Netplan이나 NetworkManager를 통해 수행합시다。
systemd-resolved와 DNS의 관계
Ubuntu에서는systemd-resolved
가 DNS 해석을 담당하며, /etc/resolv.conf
는 이 서비스가 생성합니다. 자체 DNS를 지정하고 싶은 경우, systemd-resolved의 동작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다음과 같이 재시작도 가능합니다:sudo systemctl restart systemd-resolved
6. VPN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Ubuntu를 사용하면 VPN(가상 사설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내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접근하거나, 공용 Wi‑Fi 이용 시 보안을 확보하고, 지역 제한을 회피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Ubuntu에서는 OpenVPN 및 L2TP/IPsec와 같은 여러 VPN 방식을 지원하며, GUI와 CLI 모두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VPN 연결 설정 절차를 설명합니다.OpenVPN을 GUI로 설정하는 방법 (NetworkManager 사용)
필요한 패키지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network-manager-openvpn-gnome
설치 후, Ubuntu를 한 번 재시작하는 것이 확실합니다.설정 절차
- 오른쪽 상단의 네트워크 아이콘 → ‘VPN 설정’ 또는 ‘VPN 추가’를 선택
- ‘OpenVPN’을 선택하고, ‘생성’을 클릭
- VPN 서버에서 제공된 설정 정보를 입력:
- 서버 주소
- 인증 방식(사용자명 + 비밀번호 또는 인증서)
- CA 인증서 및 비밀키(필요에 따라)
- 필요에 따라 프록시 및 DNS 설정도 수행
- 설정을 저장하고, 연결을 활성화
L2TP/IPsec를 GUI로 설정하는 방법
추가 패키지 설치
sudo apt install network-manager-l2tp-gnome
설치 후 재시동하면 L2TP 옵션이 표시됩니다.설정 절차
- VPN 추가에서 ‘L2TP’를 선택
- 서버 주소·사용자명·비밀번호를 입력
- ‘IPsec 설정’ → 사전 공유 키(Pre‑shared Key)를 입력
- 고급 설정에서 MPPE(Microsoft Point‑to‑Point Encryption) 등 옵션을 확인
- 저장하고 연결을 시도
CLI로 OpenVPN을 설정하는 방법
GUI가 없는 환경에서는 명령줄에서 OpenVPN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1. 패키지 설치
sudo apt install openvpn
2. 연결 명령 실행
VPN 서비스 제공자로부터.ovpn
파일을 받은 경우, 다음과 같이 연결합니다:sudo openvpn --config your-config.ovpn
※ 비밀번호 인증이 필요한 경우, 터미널에서 입력을 요구받습니다.VPN 연결 시 문제 해결 방법
VPN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다음을 확인하세요:- 서버 주소와 포트 번호가 올바른지
- 방화벽 설정(
ufw
)이나 ISP 측 제한이 없는지 - 필요한 인증서 파일이 올바르게 배치되어 있는지
journalctl -xe
및/var/log/syslog
에서 오류 로그 확인
nmcli
명령이나 systemctl status NetworkManager
등을 통해 상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7. 흔히 발생하는 네트워크 문제와 해결 방법
Ubuntu에서 네트워크를 설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왜인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는다”, “Wi‑Fi가 표시되지 않는다”와 같은 문제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흔히 발생하는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합니다.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을 때 기본 점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을 경우, 아래 순서대로 문제를 분리해 보겠습니다.1. 하드웨어 연결 확인
- 유선 LAN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 무선 어댑터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Wi‑Fi 스위치가 ON인지)
nmcli device status
Wi‑Fi 어댑터가 “unavailable” 또는 “disconnected” 상태라면, 하드웨어가 인식되지 않은 가능성이 있습니다.2. IP 주소가 할당되었는지 확인
ip a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 enp0s3
및 wlp2s0
)에 올바르게 IP 주소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DHCP 실패나 설정 오류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3. 네트워크 도달성 확인
아래 명령어로 게이트웨이에 도달하는지 확인:ping 192.168.1.1
Google DNS 등 외부 사이트에 대한 연결 확인도 유용합니다:ping 8.8.8.8
IP로는 연결되지만 도메인 이름으로는 연결되지 않을 경우, DNS 설정 문제입니다.Wi‑Fi가 인식되지 않음 / SSID가 표시되지 않음
Wi‑Fi 칩이 올바르게 인식되지 않을 경우, 드라이버가 부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대응 방법:
lshw -C network
이 명령어에서 “UNCLAIMED”라고 표시되면, 드라이버가 로드되지 않은 것입니다. 아래 명령어로 프로프라이어터리 드라이버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sudo ubuntu-drivers devices
추천 드라이버가 표시되면, 설치하고 재부팅합니다:sudo apt install [추천 드라이버명]
DNS 문제로 이름 해석이 안 됨
- IP로는 연결되는데 도메인 이름으로는 연결되지 않을 경우 DNS 설정에 문제가 있습니다.
resolvectl status
또는cat /etc/resolv.conf
로 현재 DNS 설정을 확인.
해결책:
Netplan 및 NetworkManager 설정에서 DNS를 Google(8.8.8.8 등)로 지정하고 다시 연결합니다.설정을 변경해도 반영되지 않음
- GUI에서 변경해도 네트워크가 반응하지 않을 경우 재연결 또는 재부팅이 필요합니다.
- CLI 환경에서는 다음 명령어로 명시적으로 반영합니다:
sudo netplan apply
NetworkManager를 재시작하는 것도 유효합니다:sudo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8. Ubuntu 네트워크 설정에 관한 FAQ
Ubuntu 네트워크 설정에 관해 초보자부터 중급자까지 많은 사용자가 궁금해하는 포인트를 정리했습니다. 아래는 실제로 많이 검색되는 내용과 트러블 사례를 기반으로 한 FAQ입니다.Q1: Ubuntu에서 Wi-Fi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A1: Wi‑Fi 어댑터가 올바르게 인식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먼저 아래 명령어로 장치 상태를 확인하십시오:lshw -C network
‘UNCLAIMED’ 또는 ‘DISABLED’라고 표시되는 경우, 드라이버 문제일 수 있습니다. 아래 절차대로 대응합니다:- 드라이버 유무 확인:
sudo ubuntu-drivers devices
- 추천 드라이버 설치:
sudo apt install [표시된 권장 드라이버]
- 재부팅 후 Wi‑Fi가 활성화되는지 확인
Q2: 고정 IP 주소를 설정했는데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습니다. 왜인가요?
A2: 다음 항목을 다시 확인하십시오:- 게이트웨이 IP 주소가 올바른지 (예: 192.168.1.1)
- DNS 서버가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예: 8.8.8.8)
- 서브넷 마스크(프리픽스) 설정이 적절한지 (예: /24)
netplan apply
를 실행하지 않은 것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Q3: CLI만으로 네트워크 설정을 완료할 수 있나요?
A3: 네, 가능합니다. GUI가 없는 서버 환경에서는 다음 두 가지가 주로 사용됩니다:nmcli
: NetworkManager 기반 네트워크 설정netplan
: YAML 기반 설정 방식 (Ubuntu 18.04 이후)
nmcli device wifi connect "SSID" password "password"
고정 IP 설정은 Netplan으로 YAML 파일을 편집한 후, 다음으로 반영합니다:sudo netplan apply
Q4: 설정 변경을 반영하는 데 재부팅이 필요합니까?
A4: 재부팅 없이 설정을 반영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GUI 환경이라면, 네트워크를 한 번 끄고 다시 연결
- CLI 환경에서는 다음 명령어로 반영 가능:
sudo netplan apply
또는,sudo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Q5: 네트워크 설정을 초기화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5: NetworkManager를 사용하는 경우 기존 연결 프로파일을 삭제함으로써 리셋이 가능합니다.nmcli connection show
nmcli connection delete <연결명>
9. 요약
Ubuntu의 네트워크 설정은 용도와 환경에 따라 여러 방법이 존재하며, 처음에는 당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기사에서 소개한 내용을 파악하면 초보자부터 고급자까지 대응할 수 있는 확실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이 기사에서 설명한 주요 포인트
- GUI (NetworkManager)를 통한 직관적인 네트워크 연결 및 설정
- CLI (nmcli 및 Netplan)를 사용한 서버 환경에서의 유연한 구성
- 고정 IP 주소 및 DNS 상세 설정 방법
- OpenVPN 및 L2TP/IPsec 등 VPN 연결 절차
- 문제 발생 시 진단 및 대처 구체 사례
- 검색하기 쉬운 의문에 대한 답변 (FAQ)
자신의 환경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자
네트워크 설정은 “Ubuntu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최적의 방법이 달라집니다.사용 시나리오 | 권장 설정 방법 |
---|---|
데스크톱 용도 | GUI (NetworkManager)로 직관적인 조작 |
서버·클라우드 용도 | CLI (Netplan)으로 확실히 구성 |
원격 작업 | SSH + nmcli 및 YAML 설정으로 관리 |
보안 중시 | VPN + 수동 DNS 설정으로 안전성 향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