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에 Vim을 설치하고 일본어 입력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초보자 완전 가이드】

目次

1. 서론

Ubuntu에서 Vim의 중요성

Ubuntu를 비롯한 Linux 배포판에서 Vim은 매우 중요한 텍스트 편집기 중 하나입니다。 “Vim(Vi IMproved)”은 그 이름 그대로 오래전부터 존재하던 “vi” 편집기를 확장·개선한 도구이며, 빠른 조작성과 유연한 커스터마이징을 갖추고 있습니다。 서버 관리나 프로그래밍 등 Linux 환경에서 다양한 작업에 유용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Ubuntu 사용자에게 Vim을 능숙하게 다루는 것은 큰 장점이 됩니다。

Vim을 사용할 때의 장점

Vim을 Ubuntu에 설치해 사용하는 장점은 매우 많습니다。 주요 포인트를 아래에 정리합니다。
  • 경량 및 고속:시작이 매우 빠르고, 저사양 환경에서도 스트레스 없이 동작합니다。
  • 풍부한 커스터마이징:설정 파일(.vimrc)을 편집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편집기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 키보드 조작에 최적화:마우스를 사용하지 않고 키보드만으로 모든 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됩니다。
  • 플러그인에 의한 확장성:필요에 따라 기능을 추가할 수 있어, 편집기를 자신만의 사양으로 키울 수 있습니다。

이 글의 목적과 흐름

이 글에서는 “Ubuntu에 Vim을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설치 절차뿐만 아니라 기본 설정과 일본어 입력 환경 구축, 나아가 문제 발생 시 대처 방법까지,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도록 순서대로 설명해 나갈 것입니다。 앞으로 Ubuntu에서 Vim을 사용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확실한 첫걸음이 될 수 있도록 꼼꼼히 진행할 것이니, 꼭 마지막까지 함께 해 주세요。
年収訴求

2. Ubuntu에서 Vim 설치

Vim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Ubuntu에는 기본으로 간이 버전인 vim-tiny가 사전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먼저 터미널을 열고, 아래 명령을 실행하여 Vim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 봅시다.
vim --version
이 명령을 실행하면 버전 정보가 표시됩니다. 오류가 발생하거나 vim-tiny와 같은 간이 버전임이 표시된 경우에는 전체 버전의 Vim을 설치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Vim 설치 절차

Ubuntu에서는 표준 패키지 관리 시스템인 APT(Advanced Package Tool)를 사용하여 쉽게 Vim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아래 절차에 따라 최신 Vim을 도입해 봅시다.

1.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한다

먼저 시스템의 패키지 목록을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합니다.
sudo apt update

2. Vim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실제로 Vim을 설치합니다.
sudo apt install vim
명령을 실행하면 필요한 패키지가 자동으로 다운로드되고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 중에 “계속 진행하시겠습니까? [Y/n]” 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Y키를 눌러 엔터를 입력합니다.

Vim 버전을 확인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다시 Vim의 버전을 확인해 봅시다.
vim --version
여기 표시되는 정보에는 설치된 버전 번호 외에도 빌드 옵션(+clipboard 등)도 포함됩니다. 특히 +clipboard가 포함되어 있으면 시스템 간 복사·붙여넣기가 가능해져 편리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추가: GUI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설치하는 방법(초보자용)

터미널 조작이 불안한 경우 Ubuntu의 “Ubuntu Software(소프트웨어 센터)”에서 Vim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1. 애플리케이션 목록에서 “Ubuntu Software”를 실행한다
  2. 검색 바에 “Vim”을 입력한다
  3. 표시된 Vim을 선택하고, “설치” 버튼을 클릭한다
이 방법이면 명령어 없이 직관적으로 Vim을 도입할 수 있어 Linux 초보자도 안심할 수 있습니다.

3. Vim의 기본 설정

.vimrc 파일의 역할과 생성 방법

Vim의 동작을 사용자 정의하기 위해 사용하는 설정 파일이 “.vimrc”입니다。 이 파일에 다양한 설정을 기록하면, 시작 시 자동으로 적용되어 보다 사용하기 편한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보통 .vimrc 파일은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vimrc)에 배치합니다。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아래 명령으로 새로 생성해 보세요。
touch ~/.vimrc
생성 후, Vim 또는 원하는 편집기로 열어 편집합니다。
vim ~/.vimrc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기본 설정

여기서는 Ubuntu에서 Vim을 처음 사용하는 분들을 위해, 최소한 갖추면 좋은 추천 설정을 소개합니다。

행 번호 표시

코드나 텍스트를 편집할 때, 행 번호가 있으면 매우 편리합니다。
set number

구문 강조 활성화

프로그래밍 등에서 코드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 구문에 따라 색을 입힙니다。
syntax on

들여쓰기 설정 조정

들여쓰기 폭을 4 스페이스로 통일하는 설정입니다. 보기 좋게 정리되고, 코드 가독성이 향상됩니다。
set tabstop=4
set shiftwidth=4
set expandtab

검색 시 대소문자 무시

검색 기능을 사용할 때,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일치시키는 설정입니다。
set ignorecase
set smartcase
ignorecase는 항상 대소문자를 무시하고, smartcase는 검색어에 대문자가 포함된 경우에만 구분하는 스마트한 동작이 됩니다。

설정 저장 및 적용

.vimrc 파일에 설정을 기록했다면, 반드시 저장하고 Vim을 재시작합시다。 보통 Vim은 시작 시 .vimrc를 읽기 때문에, 에디터를 한 번 닫았다가 다시 열면 설정이 반영됩니다。 또한, Vim 실행 중에 아래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즉시 .vimrc를 다시 읽어들이는 것도 가능합니다。
:source ~/.vimrc
이를 통해 재시작 없이 설정 변경을 적용할 수 있어, 설정을 시도하고 수정할 때 편리합니다。

4. 일본어 입력 환경 구축

일본어 입력 메소드(IME)의 설치와 설정

Vim에서 일본어를 입력하려면 Ubuntu에 일본어 입력 메소드(IME)가 올바르게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대표적인 IME로는 “fcitx-mozc”와 “ibus-mozc”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두 가지 도입 방법을 소개합니다。

fcitx-mozc 설치하기

fcitx는 가볍고 동작이 빠르며 많은 Ubuntu 사용자에게 지원받고 있는 IME 프레임워크입니다。 아래 명령으로 fcitx와 일본어 변환 엔진인 Mozc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fcitx-mozc
설치 후, 시스템 설정의 “언어 지원”에서 키보드 입력 시스템을 “fcitx”로 변경하십시오。 그 후, 다시 로그인하면 fcitx가 활성화됩니다。

ibus-mozc 설치하기

Ubuntu 표준 입력 시스템인 IBus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 명령으로 Mozc를 도입합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ibus-mozc
설치 후, 시스템 설정의 “지역 및 언어”에서 “입력 소스 추가”를 통해 “일본어(Mozc)”를 선택하고 추가하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Vim에서의 일본어 입력 시 주의점

Vim은 원래 영어권 도구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일본어 입력에는 몇 가지 주의가 필요합니다。

모드에 따른 IME 동작 차이

Vim에는 “노멀 모드”와 “인서트 모드”가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일본어 입력이 필요한 것은 인서트 모드일 때만입니다。 노멀 모드 중에 IME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예상치 못한 명령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모드별로 IME를 전환하는 것을 의식하면 작업 효율이 향상됩니다。

Vim과 IME의 호환성 문제

일부 Ubuntu 환경에서는 Vim에서 IME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특히 터미널 버전 Vim에서는 환경에 따라 일본어 변환 후보 창이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경우도 있습니다。 그 경우, GUI 버전 Vim(예: gvim)을 사용하거나 설정을 미세 조정(폰트 설정 및 인코딩 설정)하면 해결될 수 있습니다。

IME 전환 단축키 설정

일본어 입력과 영어 입력을 원활하게 전환하기 위해 단축키를 설정해 두면 편리합니다。 예를 들어 fcitx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 절차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fcitx 설정 화면을 엽니다
  2. ‘글로벌 설정’ 탭을 선택합니다
  3. ‘입력 메소드 온/오프 전환 키’를 원하는 키로 설정합니다(예: 반각/전각 키)
이를 통해 Vim을 포함한 모든 애플리케이션에서 빠르게 일본어⇔영어를 전환할 수 있게 됩니다。

5. 보다 편리한 Vim 환경을 위해

유용한 플러그인 소개

Vim은 기본 기능만으로도 충분히 강력하지만, 플러그인을 활용하면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인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Ubuntu에서 Vim을 사용할 때 특히 추천하는 플러그인을 몇 가지 소개합니다.

vim-airline

vim-airline은 Vim의 상태 표시줄을 아름답게, 그리고 정보량이 풍부하게 만드는 플러그인입니다. 파일명, 행 번호, 인코딩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됩니다. 설치 예시:
Plug 'vim-airline/vim-airline'
※ 설치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 설명하는 플러그인 매니저 장을 참고하십시오.

nerdtree

nerdtree는 Vim 안에서 파일 트리를 표시할 수 있는 플러그인입니다. GUI 에디터처럼 디렉터리 구조를 시각도 파악하면서 파일을 조작할 수 있어 대규모 프로젝트를 다룰 때 매우 편리합니다. 설치 예시:
Plug 'preservim/nerdtree'
NERDTree를 실행하려면 보통 다음 명령을 사용합니다.
:NERDTreeToggle
이것만으로 사이드바에 파일 트리가 열립니다.

플러그인 매니저(vim-plug) 도입 방법

많은 플러그인을 관리하려면 플러그인 매니저를 도입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여기에서는 간단하고 인기가 높은 ‘vim-plug’를 소개합니다.

vim-plug 설치 절차

  1. vim-plug를 다운로드하여 배치합니다.
curl -fLo ~/.vim/autoload/plug.vim --create-dirs   https://raw.githubusercontent.com/junegunn/vim-plug/master/plug.vim
  1. .vimrc에 플러그인 리스트를 기록합니다.
call plug#begin('~/.vim/plugged')

Plug 'vim-airline/vim-airline'
Plug 'preservim/nerdtree'

call plug#end()
  1. Vim을 시작하고, 아래 명령을 실행합니다.
:PlugInstall
이렇게 하면 설정한 플러그인이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일본어 입력 시 커서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방법

일본어 입력 중에 커서 이동이 느려지거나 동작이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개선하는 방법도 몇 가지 존재합니다.

IME 자동 온오프 설정

Vim 모드에 따라 IME를 자동으로 온오프하는 설정을 도입하면 오입력을 방지하고 스트레스 없는 일본어 입력이 가능해집니다. 예를 들어, 플러그인 ‘fcitx.vim’ 등을 이용하면 구현할 수 있습니다.

skkeleton 활용 (Neovim용)

Neovim 사용자라면 최근 주목받고 있는 ‘skkeleton’이라는 일본어 입력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Vim 안에서 네이티브하게 일본어 입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매우 편리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6. 문제 해결

Vim이 시작되지 않거나 오류가 표시되는 경우

Vim을 설치한 후, 시작 시 오류 메시지가 표시되거나 아예 시작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의 대부분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 설치 중에 의존 패키지가 올바르게 도입되지 않았다
  • .vimrc 설정 파일에 기록 오류가 있다
  • 권한 문제로 필요한 파일을 읽을 수 없다

대처 방법

  1. 우선, Vim 자체가 올바르게 설치되어 있는지 다시 확인합니다.
vim --version
  1. 설치에 문제가 있는 경우, 한 번 제거하고 다시 설치해 봅시다.
sudo apt remove vim
sudo apt install vim
  1. .vimrc에 문제가 있는 경우, 설정 파일을 일시적으로 무시하고 Vim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vim -u NONE
이렇게 정상적으로 시작될 수 있다면, .vimrc의 기록 내용을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본어 입력이 안 될 경우 확인 포인트

Ubuntu에서 일본어 입력을 할 때, Vim에 국한되지 않고 일본어를 입력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Vim에서는 IME와의 연동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가 있으므로, 아래 포인트를 확인하십시오.
  • 사용 중인 IME(fcitx/ibus)가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 시스템 설정에서 일본어 입력 소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 터미널 설정에서 폰트와 인코딩이 적절히 설정되어 있는지
터미널 버전 Vim에서 잘 안 될 경우, GUI 버전 Vim(gvim) 사용을 검토하면 개선될 수도 있습니다.

설정이 반영되지 않을 경우 체크리스트

.vimrc에 설정을 기록했지만, Vim을 실행해도 변경이 반영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 경우, 다음 사항을 순서대로 확인해 봅시다.
  1. .vimrc 파일이 올바른 위치(홈 디렉터리 바로 아래)에 존재하는지
  • 경로 확인: ~/.vimrc
  1. 파일 이름이 올바른지
  • 대소문자를 틀리지 않았는지(예: .Vimrc가 아니라 .vimrc
  1. 기록 오류가 없는지
  • Vim 명령은 한 글자만 달라도 무효화되므로, 철자 오류나 표기 오류에 주의합니다.
  1. 파일 저장 후, Vim을 재시작했는지
  • 또는, 아래 명령으로 즉시 반영도 가능합니다.
:source ~/.vimrc
이것들을 확인하면, 설정 반영 문제의 대부분은 해결될 수 있습니다.

7. 요약

Ubuntu에서 Vim을 사용하기 시작하는 과정

여기까지 Ubuntu에서 Vim 설치 방법부터 기본 설정, 일본어 입력 환경 구축, 그리고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플러그인 도입 및 트러블슈팅까지 순서대로 설명했습니다. 간단히 포인트를 되짚어 보면, 다음과 같은 단계로 Vim을 사용하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1. 터미널 또는 Ubuntu Software에서 Vim을 설치
  2. .vimrc 파일을 만들고, 행 번호 표시와 구문 강조 등 기본 설정을 수행한다
  3. fcitx-mozc 또는 ibus-mozc를 도입하여 일본어 입력 환경을 정비한다
  4. vim-airline 및 nerdtree 등 플러그인을 도입해 작업 효율을 높인다
  5. 시작 오류나 일본어 입력 문제 발생 시, 원인을 차례대로 확인하고 대처한다
이 절차를 따르면, 초보자라도 Ubuntu에서 Vim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다음 단계: Vim의 더 나은 활용으로

이번에 소개한 것은, 어디까지나 Vim의 “첫걸음”입니다。 Vim은 커스터마이징 가능성과 기능의 깊이 때문에, 배울수록 자신에게 맞게 키워나갈 수 있는 에디터입니다。 다음 단계로, 아래와 같은 주제에도 도전해 보면 좋습니다。
  • Vim 스크립트(VimL)를 사용한 자동화 설정
  • LSP(Language Server Protocol)를 이용한 고급 프로그래밍 지원 환경 구축
  • Neovim으로의 전환 및 확장 기능 활용
  • 일본어와 영어를 자유롭게 전환하면서 라이팅 최적화
자신만의 최고의 에디터 환경을 만드는 즐거움을 꼭 체험해 보세요。
年収訴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