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마운트 완전 가이드 | USB·HDD·네트워크 공유 설정·문제 해결

目次

1. Ubuntu에서 “마운트”란?

마운트의 의미와 역할

Linux와 Ubuntu에서는, ‘마운트(mount)’는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파일 시스템에 연결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USB 메모리나 외장 HDD를 PC에 연결해도, 단순히 연결만으로는 내용물을 볼 수 없습니다. Ubuntu는 “마운트”라는 처리를 통해, 해당 스토리지의 내용물을 “/media”나 “/mnt”와 같은 특정 위치(마운트 포인트)에 표시할 수 있게 합니다. 이미지로는, 스토리지라는 ‘부품’을 Ubuntu라는 ‘본체’에 장착하여, 비로소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구조입니다. 이 마운트는 USB와 같은 이동식 미디어에 국한되지 않고, 내장 HDD의 파티션이나 네트워크상의 공유 폴더 등 모든 스토리지에 적용됩니다.

파일 시스템과 디바이스의 관계

Ubuntu를 포함한 Linux에서는,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는 “루트 디렉터리(/)”에서 시작되는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안에, 외부 디바이스를 포함시키기 위해 “마운트 포인트”라 불리는 빈 폴더를 만들고, 그곳에 스토리지를 ‘연결’함으로써 마치 해당 디바이스가 처음부터 존재했던 것처럼 다룰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media/usb”에 마운트하면, 그 내용물이 “/media/usb” 아래에 표시되어 복사나 편집과 같은 작업이 가능해집니다. 중요한 점은, 마운트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Ubuntu가 해당 디바이스를 다룰 수 없다는 점입니다. 디바이스가 인식되어 있어도, 마운트되지 않으면 파일의 읽고 쓰기가 불가능합니다.

Ubuntu와 다른 OS(Windows/Mac)와의 차이

Windows에서는 USB를 삽입하면 자동으로 드라이브 D나 E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지만, Ubuntu의 경우, 자동 마운트 여부는 설정에 따라 달라집니다. GUI(데스크톱 환경)를 사용하는 경우 대부분의 스토리지가 자동으로 마운트되지만, 서버 환경이나 터미널 중심의 작업에서는 수동으로 마운트 작업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Windows에서는 파일 시스템 종류(NTFS나 FAT32)를 크게 의식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지만, Ubuntu에서는 파일 시스템마다 마운트 시 옵션이나 지원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약간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NTFS 스토리지를 다루려면 ntfs-3g라는 패키지를 도입해야 합니다. 이처럼 Ubuntu에서 “마운트”는 단순한 연결이 아니라, 파일 시스템의 일부로 통합하는 중요한 프로세스입니다. 이후 섹션에서는 구체적인 마운트 방법과 설정 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나가겠습니다.
侍エンジニア塾

2. 【수동】Ubuntu에서 기본적인 마운트 방법

mount 명령어의 기본 구문과 사용법

Ubuntu에서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수동으로 마운트할 때 사용하는 것이 mount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은 간단한 구문이지만 매우 강력하고 유연합니다。
sudo mount [옵션] 디바이스 경로 마운트포인트
예를 들어, USB 메모리(/dev/sdb1)를 “/mnt/usb” 라는 디렉터리에 마운트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sudo mount /dev/sdb1 /mnt/usb
이 명령을 실행하면 “/mnt/usb” 디렉터리 안에 USB 메모리 내 파일이 표시되고, 읽고 쓸 수 있게 됩니다。 주의점으로, 마운트에는 root 권한이 필요하므로 sudo를 붙여 실행해야 합니다。

마운트 포인트 생성 및 관리

마운트 포인트란 디바이스의 내용을 펼치기 위한 “빈 디렉터리”입니다。 이 위치를 미리 만들어 두어야 합니다。
sudo mkdir -p /mnt/usb
-p 옵션을 붙이면, 상위 디렉터리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도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일반적으로, 일시적인 수동 마운트에는 “/mnt”이나 “/media”를 많이 사용하지만, 직접 만든 임의의 디렉터리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마운트가 완료되면, 마운트 포인트에 디바이스 파일이 표시되지만, 언마운트(umount)하면 원래의 빈 디렉터리로 돌아갑니다

디바이스 이름과 UUID 확인 방법

마운트를 수행하려면, 대상이 되는 스토리지의 디바이스 이름(예: /dev/sdb1 등)을 파악해야 합니다. 아래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lsblk
lsblk은 연결된 블록 디바이스(HDD, SSD, USB 등)를 목록으로 표시합니다。 각 디바이스의 크기와 마운트 상태도 확인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또한, UUID(범용 고유 식별자)를 확인하고 싶을 경우, 아래를 사용합니다:
sudo blkid
blkid는 각 디바이스의 UUID와 파일시스템 타입(ext4, ntfs, fat32 등)을 표시해 줍니다. UUID는 뒤에서 설명할 자동 마운트 설정(fstab)에서도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언마운트 절차(umount)

마운트한 디바이스를 분리하려면, umount 명령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mnt/usb”에 마운트된 디바이스를 언마운트하려면:
sudo umount /mnt/usb
또는, 디바이스 이름을 직접 지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sudo umount /dev/sdb1
언마운트하지 않고 디바이스를 물리적으로 분리하면 데이터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전한 분리를 위해, umount는 반드시 실행합시다。

3. 【자동】시작 시 마운트 설정 방법(fstab)

/etc/fstab이란? 역할과 구조

Ubuntu에서 시작 시 디바이스를 자동 마운트하고 싶다면、/etc/fstab이라는 파일을 사용합니다。 이 파일은、시스템 시작 시 읽혀지는 마운트 설정 파일이며、기록된 내용에 따라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마운트됩니다。 예를 들어、외부 스토리지나 추가 파티션을 매번 수동으로 마운트하는 것이 번거로운 경우、이 fstab에 설정을 적어두면 시작 시 자동으로 처리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기록 내용에 오류가 있으면 시스템 시작에 실패할 가능성이 있으므로、설정 전에 충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UUID로 설정하는 방법과 안전성

fstab에서는 마운트 대상 디바이스를「디바이스 이름(/dev/sdb1 등)」으로 지정할 수도 있지만、UUID(범용 고유 식별자)로 지정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그 이유는 USB 포트 연결 순서 등에 따라 /dev/sdb1 같은 디바이스 이름은 변할 수 있지만、UUID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UUID를 확인합니다:
sudo blkid
그러면 다음과 같은 출력이 얻어집니다:
/dev/sdb1: UUID="1234-ABCD" TYPE="vfat"
이를 기반으로、fstab에 다음과 같은 행을 추가합니다:
UUID=1234-ABCD /mnt/usb vfat defaults 0 0
각 항목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의미
UUID=〜대상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자
/mnt/usb마운트 포인트
vfat파일 시스템 종류(예: FAT)
defaults마운트 옵션(표준 설정)
0 0백업/체크 여부

작성 시 주의점과 오류 회피 팁

fstab의 기록 실수는 Ubuntu의 시작 오류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안전하게 편집하기 위해서는、다음 포인트에 주의하세요:
  • 반드시 백업을 만들기:편집 전에 sudo cp /etc/fstab /etc/fstab.bak 로 백업을 생성합시다。
  • 마운트 포인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지정한 폴더가 없으면、sudo mkdir -p /mnt/usb 로 생성해 둡니다。
  • 테스트 마운트를 수행하기:작성한 내용이 올바른지 확인하려면、다음 명령을 사용합니다:
sudo mount -a
이 명령은、fstab에 기록된 모든 설정을 한 번에 다시 마운트합니다。오류가 나오지 않으면、문제 없습니다。

백업과 복원:fstab 편집 전에 해야 할 일

만약 fstab의 기록 실수로 시스템이 부팅되지 않게 된 경우、복구 모드에서 수정해야 합니다。 그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도、백업과 신중한 검증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에디터에 nano를 사용하면 초보자도 다루기 쉬울 것입니다:
sudo nano /etc/fstab
저장은 Ctrl + O、종료는 Ctrl + X 입니다。

4. 메모리와 외장 HDD를 마운트하는 방법

FAT32·exFAT·NTFS 형식의 차이와 대응 방법

USB 메모리와 외장 HDD를 Ubuntu에 마운트할 때는 파일 시스템 종류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로 다음 3가지가 많이 사용됩니다:
파일 시스템특징Ubuntu에서의 대응
FAT32거의 모든 OS에서 읽을 수 있음표준으로 지원됨
exFAT대용량 파일 지원, 호환성도 높음Ubuntu 20.04 이후는 표준 지원, 오래된 환경에서는 exfat-fuse 필요
NTFSWindows에서 표준 채택읽기는 표준 지원, 쓰기에는 ntfs-3g 도입 권장
NTFS 형식 USB를 완전히 다루려면, 아래 명령으로 ntfs-3g를 설치합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ntfs-3g

디바이스 확인 및 마운트 절차(수동)

먼저, USB 디바이스를 연결한 후, 아래 명령으로 디바이스 이름을 확인합니다:
lsblk
표시 예시:
sdb      8:16   1   16G  0 disk 
└─sdb1   8:17   1   16G  0 part /mnt/usb
이 경우, /dev/sdb1이 마운트 대상 파티션입니다. 수동으로 마운트하려면, 먼저 마운트 포인트를 생성합니다:
sudo mkdir -p /mnt/usb
다음으로, mount 명령으로 마운트합니다:
sudo mount /dev/sdb1 /mnt/usb
파일 내용은 /mnt/usb 디렉터리 아래에 표시되며, 일반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자동 마운트되지 않을 때의 대처법

Ubuntu 데스크톱 환경(GNOME 등)에서는 보통 자동으로 마운트되지만, 서버 환경이나 일부 설정에서는 자동 마운트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다음 대처법을 시도해 보세요:
  1. 파일 매니저를 사용해 다시 연결해 보기(데스크톱 환경의 경우)
  2. udisksctl 명령을 사용해 마운트하기
udisksctl mount -b /dev/sdb1
  1. dmesg 명령으로 인식 상황을 확인하기
dmesg | tail
여기서 “new USB device”와 같은 로그가 표시되지 않으면, 물리적인 접촉 불량이나 케이블 문제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디바이스 안전하게 제거하는 절차(umount)

마운트 중인 USB를 갑자기 뽑으면 데이터가 손상될 위험이 있습니다. 제거하기 전에 반드시 언마운트를 수행합시다:
sudo umount /mnt/usb
또는, 마운트 포인트를 모를 경우 디바이스 이름으로 지정해도 됩니다:
sudo umount /dev/sdb1
마운트 해제가 성공하면, 디바이스 내용이 표시되지 않게 됩니다. 그 후, 안전하게 USB를 물리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5. 네트워크 드라이브(NAS)를 마운트하기

Windows 공유(SMB/CIFS) 마운트 절차

Ubuntu에서는 Windows나 NAS에 있는 공유 폴더(SMB/CIFS 프로토콜)를 마운트하여 로컬 디렉터리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합시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cifs-utils
다음으로, 마운트 포인트를 생성합니다:
sudo mkdir -p /mnt/share
그리고, 공유 폴더를 마운트하는 명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sudo mount -t cifs //192.168.1.100/share /mnt/share -o username=사용자명,password=비밀번호,iocharset=utf8
여기서의 포인트:
  • //192.168.1.100/share:공유 대상의 IP 주소와 공유 이름
  • /mnt/share:로컬 마운트 포인트
  • -o 옵션:사용자명·비밀번호·문자 인코딩 등 지정
  • iocharset=utf8:일본어 파일명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
※ 비밀번호를 명령줄에 쓰는 것이 신경 쓰인다면, 아래의 “인증 정보의 안전한 관리 방법”을 참고하십시오。

NFS 공유 설정 및 마운트 방법

NFS(Network File System)는 Linux 간 파일 공유에 적합한 프로토콜입니다。 먼저, 클라이언트 측에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sudo apt install nfs-common
다음으로, 마운트 포인트를 생성:
sudo mkdir -p /mnt/nfs
그리고, NFS 공유를 마운트합니다:
sudo mount -t nfs 192.168.1.200:/export/share /mnt/nfs
공유 대상의 구성에 따라 경로를 변경하십시오。 일시적인 마운트가 아니라 부팅 시 자동 마운트하려면, /etc/fstab에 다음과 같이 기록합니다:
192.168.1.200:/export/share /mnt/nfs nfs defaults 0 0

인증 정보(사용자명/비밀번호)의 안전한 관리 방법

SMB 마운트 시, 비밀번호를 명령줄에 직접 쓰는 것은 보안상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자격 정보 파일을 생성하여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1. /etc/samba/credentials 등 임의 파일을 생성:
sudo nano /etc/samba/credentials
내용:
username=your_username
password=your_password
  1. 파일 권한을 제한:
sudo chmod 600 /etc/samba/credentials
  1. fstab에 아래와 같이 추가:
//192.168.1.100/share /mnt/share cifs credentials=/etc/samba/credentials,iocharset=utf8 0 0
이렇게 하면, 부팅 시 자동 마운트해도 비밀번호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일본어 파일명 깨짐 방지(로케일 확인)

SMB 마운트 시, 일본어 파일명이 “????.txt” 등으로 표시되는 경우는 문자 인코딩(charset) 지정이 필요합니다。 앞서와 같이, mount 옵션으로 다음과 같이 지정합니다:
iocharset=utf8
또한, Ubuntu의 로케일이 일본어가 아닌 경우, 깨짐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확인·설정합시다:
locale
출력에 ja_JP.UTF-8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다음과 같이 일본어 로케일을 추가합니다:
sudo apt install language-pack-ja
sudo update-locale LANG=ja_JP.UTF-8
설정 후에는 로그아웃이나 재부팅을 수행하여 반영합니다。

6. 흔히 발생하는 오류와 트러블슈팅

‘디바이스가 사용 중’이라고 표시되는 경우

오류 내용:

umount: /mnt/usb: target is busy.
이 오류는 마운트 해제하려는 디바이스가 현재 어떤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 중인 경우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

  • 다른 터미널에서 해당 디렉터리로 cd 하고 있는 경우
  • GUI에서 파일을 연 상태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가 파일을 사용 중

대처 방법:

  1. 사용 중인 프로세스를 조사:
lsof /mnt/usb
  1.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사용을 중단
  2. 그래도 해결되지 않으면 fuser 명령을 사용:
sudo fuser -km /mnt/usb
이는 강제로 사용 중인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마운트를 해제합니다(신중히 사용하십시오).

‘Permission denied’가 발생했을 때의 대처

오류 내용:

mount: /mnt/share: permission denied.
이 오류는 마운트 대상 디렉터리 또는 디바이스에 대해 접근 권한이 부족한 경우 발생합니다.

대처 방법:

  1. sudo를 빼먹지 않았는지 확인:
sudo mount /dev/sdb1 /mnt/usb
  1. 마운트 포인트의 권한을 변경(필요에 따라):
  2. SMB 공유인 경우, 인증 정보와 연결 대상의 접근 권한 설정을 확인

자동 마운트가 작동하지 않을 때 체크 포인트

fstab을 사용해 자동 마운트를 설정했지만, 부팅 시 마운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점검해야 할 사항:

  • fstab의 기록 오류(공백 수, 파일 시스템 타입 등)
  • UUID가 올바른지 재확인(sudo blkid로 확인)
  • 마운트 포인트가 존재하는지(mkdir로 사전 생성)
  • 네트워크 공유가 부팅 시 아직 사용 불가(특히 SMB나 NFS)

디버그 방법:

sudo mount -a
이렇게 오류가 나오면 fstab 작성 방식에 문제가 있습니다. 오류 내용에 따라 수정하십시오.

dmesg/journalctl로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

마운트 시 오류의 상세는 커널 로그나 시스템 로그에 기록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dmesg | tail -n 20
또는, 보다 상세한 시스템 로그를 확인하고 싶을 경우:
journalctl -xe
이러한 로그를 참조함으로써 하드웨어 오류나 마운트 옵션의 불일치 등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기타 흔히 발생하는 마운트 관련 오류

증상원인대처법
mount: unknown filesystem type ‘exfat’exFAT 미지원 환경sudo apt install exfat-fuse exfat-utils
SMB 마운트에서 I/O errorSMB 버전 불일치vers=1.0 또는 vers=3.0-o 옵션에 추가
파일명이 ????가 됨로케일·문자 인코딩 문제iocharset=utf8 추가, 또는 로케일 설정 재검토

7. 【보충】마운트 관련 명령어 목록 및 사용법 정리

■ 디바이스 확인

lsblk

연결된 디바이스와 파티션 구성을 표시합니다。
lsblk
예: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
sdb      8:16   1  16G  0 disk 
└─sdb1   8:17   1  16G  0 part /mnt/usb

blkid

UUID(범용 고유 식별자)와 파일 시스템 종류를 확인합니다。
sudo blkid

■ 마운트와 언마운트

mount

스토리지를 마운트하는 기본 명령。
sudo mount /dev/sdb1 /mnt/usb
파일 시스템 및 옵션을 명시할 수도 있습니다:
sudo mount -t vfat -o uid=1000,gid=1000 /dev/sdb1 /mnt/usb

umount

마운트를 해제(언마운트)합니다。
sudo umount /mnt/usb
또는, 디바이스 이름으로도 가능합니다:
sudo umount /dev/sdb1

■ 자동 마운트 관련

/etc/fstab

시스템 부팅 시 마운트할 디바이스의 설정 파일. 직접 편집:
sudo nano /etc/fstab
작성 예:
UUID=1234-ABCD /mnt/usb vfat defaults 0 0

mount -a

fstab의 기록을 검증하고, 모든 엔트리를 마운트합니다。
sudo mount -a
오류가 발생하면, 기록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트러블슈팅용

dmesg

커널 로그에서 마운트 실패 시 정보를 확인합니다。
dmesg | tail -n 20

journalctl

보다 자세한 로그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저널。
journalctl -xe

lsof

어떤 프로세스가 마운트 포인트를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lsof /mnt/usb

fuser

사용 중인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합니다(필요한 경우에만 사용)。
sudo fuser -km /mnt/usb

■ 네트워크 공유 관련

cifs-utils

SMB/CIFS 마운트에 필요한 패키지。
sudo apt install cifs-utils

nfs-common

NFS 공유에 필요한 패키지。
sudo apt install nfs-common

udisksctl

GUI 없는 환경에서 USB 등을 간편하게 마운트/언마운트。
udisksctl mount -b /dev/sdb1
udisksctl unmount -b /dev/sdb1

8. FAQ:Ubuntu의 마운트에 관한 자주 묻는 질문

Q1. Ubuntu에서 USB가 자동 마운트되지 않는 이유는?

A. 데스크톱 환경(GNOME이나 KDE 등)이라면 보통 USB 디바이스가 자동 마운트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자동 마운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Ubuntu Server 등 GUI가 없는 환경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 디바이스가 올바르게 인식되지 않음(케이블 불량·포맷 불명)
  • 디바이스에 파일 시스템이 없거나 손상된 경우
대처 방법으로는 lsblkdmesg로 디바이스 인식 상태를 확인하고, 수동으로 마운트하는 방법을 시도해 보세요.

Q2. fstab을 편집했더니 Ubuntu가 부팅되지 않는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fstab의 기록 오류로 인해 부팅 시 자동 마운트에 실패하고 시스템이 “보수 모드(maintenance mode)”에서 멈출 수 있습니다. 대처 절차:
  1. 보수 모드에서 로그인하고 nano 등으로 fstab을 수정합니다:
sudo nano /etc/fstab
  1. 명백히 잘못된 행에 #를 붙여 주석 처리하고 일시적으로 비활성화
  2. mount -a 로 오류가 없는지 확인
  3. 수정 후 재부팅
또한, 앞으로를 위해 편집하기 전에 백업을 해두세요.
sudo cp /etc/fstab /etc/fstab.bak

Q3. Windows 공유 폴더(SMB)를 매번 마운트하지 않고 자동화하고 싶다

A. /etc/fstab에 마운트 설정을 기록함으로써 자동 마운트가 가능합니다. 다만, 사용자 이름 및 비밀번호 관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1. /etc/samba/credentials 파일을 생성하고 자격 정보를 저장합니다
username=your_username  
password=your_password
  1. fstab 기록 예시:
# SMB마운트설정
//192.168.1.100/share /mnt/share cifs credentials=/etc/samba/credentials,iocharset=utf8 0 0
  1. sudo mount -a 로 동작 확인

Q4. 매번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마운트하고 싶다

A. SMB 공유지에 접근할 경우, 자격 정보 파일(위)을 사용함으로써 매번 비밀번호 입력 없이 마운트 가능합니다. 로컬 USB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fstab으로 설정하고 defaults 옵션을 사용하면 비밀번호 입력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Q5. 마운트된 디바이스 목록을 확인하는 방법은?

A. 현재 마운트된 모든 디바이스와 그 마운트 포인트를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을 사용합니다.
mount | column -t
또는, 보다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싶을 경우:
lsblk -f

Q6. umount을 해도 “target is busy”가 표시되어 마운트를 해제할 수 없다

A. 이 오류는 디바이스가 현재 사용 중인 경우에 발생합니다. 아래에서 사용 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종료합니다:
lsof /mnt/usb
또는, 강제로 프로세스를 종료:
sudo fuser -km /mnt/usb
그 후, 다시 umount을 실행하십시오.

9. 요약

Ubuntu에서 “마운트(mount)” 작업은, 스토리지와 네트워크 공유를 올바르게 활용하기 위한 기본 기술입니다. 이 기사에서는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도록, 마운트 개념부터 실제 작업 방법, 트러블 대응까지 포괄적으로 설명했습니다. 여기서 각 장의 요점을 간결하게 되돌아봅니다.

🔹 Ubuntu에서 “마운트”의 기본

  • 마운트란, 디바이스를 파일 시스템에 연결하여 접근 가능하게 하는 작업입니다.
  • Windows와 달리, Ubuntu에서는 명시적인 마운트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 수동 마운트 방법

  • mount 명령을 사용하여 원하는 디렉터리에 연결합니다.
  • 디바이스 이름은 lsblkblkid 로 확인 가능합니다.
  • 언마운트는 umount 명령으로 안전하게 수행합니다.

🔹 자동 마운트 설정(fstab)

  • /etc/fstab 을 편집함으로써 부팅 시 자동 마운트가 가능합니다.
  • UUID로 디바이스를 지정하여 안정적인 운영을 할 수 있습니다.
  • 작성 오류에 주의하고, 편집 전에 반드시 백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 USB 및 외장 HDD 다루는 방법

  • FAT32, exFAT, NTFS 등 파일 시스템에 따라 대응이 필요합니다.
  • 자동 마운트되지 않을 경우 수동 대응이나 udisksctl 이 편리합니다.
  • 데이터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하기 전에 반드시 언마운트를 수행해야 합니다.

🔹 네트워크 드라이브 마운트(SMB/NFS)

  • cifs-utilsnfs-common 을 사용하여 Windows 공유 및 NAS와 연동합니다.
  • 비밀번호 관리는 자격 정보 파일 활용을 권장합니다.
  • 문자 깨짐 방지를 위해 iocharset=utf8 및 로케일 설정 재검토가 효과적입니다.

🔹 트러블슈팅 및 FAQ

  • “target is busy” 및 “permission denied” 등 대표적인 오류에 대한 대처법을 설명합니다.
  • lsof, fuser, dmesg, journalctl 등 보조 명령을 활용합니다.
  • 자주 묻는 질문을 FAQ로 정리하여 실무에서의 걸림돌을 해소합니다.
Ubuntu에서의 스토리지 관리는, “익숙해지면 매우 유연하고 자유도가 높다”는 큰 특징입니다. 이번 기사에서 소개한 지식과 명령을 활용하여, 자신의 환경에 맞는 마운트 운영을 구축해 보세요. 이 지식이 일상적인 파일 작업부터 서버 구축, NAS 연동까지, Ubuntu를 보다 편리하게 활용하기 위한 큰 한 걸음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