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 1 1. Ubuntu가 부팅되지 않는 문제와 Boot Repair의 필요성
- 2 2. Boot Repair란? 그 기능과 할 수 있는 일
- 3 3. Boot Repair의 준비와 설치 방법
- 4 4. Boot Repair의 사용법: 권장 복구 절차
- 5 5. 수동 GRUB 복구 방법 (Boot Repair로 해결되지 않을 경우)
- 6 6. 자주 발생하는 트러블·케이스 스터디 별 대처법
- 7 7. FAQ(자주 묻는 질문과 그 답변)
- 7.1 Q1. Boot Repair를 사용하려면 인터넷 연결이 필요합니까?
- 7.2 Q2. Boot Repair를 사용했더니 Windows가 부팅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 7.3 Q3. GRUB 메뉴가 표시되지 않고 Ubuntu가 그대로 부팅됩니다.
- 7.4 Q4. Boot Repair 실행 후, 검은 화면 상태에서 진행되지 않습니다?
- 7.5 Q5. Boot Repair 실행 후, BIOS 부팅 순서가 바뀌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 7.6 Q6. EFI 모드와 BIOS 모드를 잘 모릅니다. Boot Repair는 어느 쪽에서도 사용할 수 있나요?
- 8 8. 요약: 부팅 문제는 두렵지 않다. Boot Repair로 간편 복구!
1. Ubuntu가 부팅되지 않는 문제와 Boot Repair의 필요성
Ubuntu가 부팅되지 않을 때 일어나는 일
Ubuntu를 오래 사용하면 어느 날 갑자기 “Ubuntu가 부팅되지 않는다”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검은 화면에 멈추거나 “grub rescue”가 표시되거나 전혀 반응하지 않는 등 증상은 다양합니다. 이는 주로부트로더(GRUB)의 문제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OS 자체가 손상되지 않았더라도 부팅에 필요한 “입구”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팅 문제는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GRUB 설정 파일의 손상 또는 삭제
- 디스크 구성 변경(예: 파티션 작업, SSD 교체 등)
- Windows와의 듀얼 부팅 환경에서의 불일치
- UEFI/BIOS 설정 변경
- 커널 업데이트 후의 문제
Boot Repair란? 문제 발생 시 유용한 구세주
그럴 때 활약하는 것이 “Boot Repair(부트리페어)”라는 도구입니다. Boot Repair는 Ubuntu와 다른 Linux 배포판의부팅 오류를 간단히 복구할 수 있는 무료 도구로, 몇 번의 클릭만으로 GRUB 문제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복구해 줍니다. 특히 초보자에게는 터미널 조작을 최대한 피하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Ubuntu 부팅에 실패했을 때 “재설치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포기하기 전에 한 번 시도해 볼 가치가 있습니다.왜 Boot Repair를 알아두어야 할까?
부팅 문제는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옵니다. 평소 Linux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일수록 “원인을 모른다”,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른다”고 느끼기 쉽습니다. 그러나 Boot Repair를 알고 있으면 대부분의 문제를재설치 없이 몇 분 안에 복구할 수 있게 됩니다. 이후 설명할 구체적인 사용 방법을 읽으면, 여러분도 오늘부터 “Ubuntu가 부팅되지 않는다!”고 초조해하지 않는 안심된 Linux 생활을 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2. Boot Repair란? 그 기능과 할 수 있는 일
Boot Repair란 무엇인가?
Boot Repair(부트리페어)는 Ubuntu와 기타 Linux 배포판에서 발생하는 부팅 문제를 간단히 복구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특히 GRUB(GNU GRUB)이라고 불리는 부트 로더의 복구에 특화되어 있어, 명령줄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GUI 기반으로 문제 해결이 가능한 것이 큰 특징입니다. 부팅 시 검은 화면에 멈추거나 “no such partition”, “grub rescue”와 같은 오류 메시지가 표시되는 경우, 이 Boot Repair가 매우 유용합니다.주요 기능 목록
Boot Repair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GRUB 재설치(grub-install)
- 부팅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GRUB를 자동으로 재설치합니다.
- GRUB 구성 파일 재생성(update-grub)
- OS를 탐지하고 부팅 항목을 재구성합니다.
- MBR(마스터 부트 레코드) 복구
- BIOS 부팅 형식인 경우, 손상된 MBR을 복원할 수 있습니다.
- EFI 부팅 항목 수정
- UEFI 환경에서도 필요에 따라 EFI 파티션을 복구합니다.
- 부팅 정보 보고서 생성
- 복구 내용 및 상황을 기록한 로그를 URL 형식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포럼 등에서 다른 사용자와 상황을 공유하기가 쉬워집니다.
지원 OS 및 환경
Boot Repair는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동작합니다.- Ubuntu 12.04 이후(22.04 등 최신 LTS 버전에서도 사용 가능)
- Debian 계열 파생 배포판(Linux Mint, Zorin OS 등)
- BIOS(레거시) 및 UEFI 양쪽 부팅 모드를 지원
다른 복구 방법과의 차이점
Boot Repair의 가장 큰 특징은 “GUI로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일반적으로 GRUB 복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수동으로 수행해야 합니다.- Live USB로 Ubuntu를 부팅
- 터미널에서
mount
와chroot
를 활용 grub-install
와update-grub
를 실행
3. Boot Repair의 준비와 설치 방법
Live USB 준비: 먼저 Ubuntu를 부팅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
Ubuntu가 부팅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Boot Repair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먼저 필요하게 되는 것이 Live USB(라이브 USB)를 사용해 일시적으로 Ubuntu를 부팅하는 방법입니다. Live USB란 USB 메모리에 Ubuntu 설치 프로그램을 넣어, PC를 그곳에서 부팅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설치하지 않고 Ubuntu를 사용할 수 있어, 문제 대응에도 최적입니다. 절차(간략 버전):- 다른 정상적인 PC에서 Ubuntu ISO 이미지를 다운로드
- Rufus나 balenaEtcher와 같은 도구로 USB 메모리에 기록
- 문제의 PC의 BIOS/UEFI에서 USB 부팅을 활성화하고, Live 부팅
- ‘Ubuntu를 시험해 보기’를 선택하고, 데스크톱 환경을 시작
Boot Repair 설치 절차
Live USB에서 Ubuntu를 부팅하면, 터미널을 사용해 Boot Repair를 설치합니다. 설치는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므로 Wi-Fi나 유선 LAN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해 두는 것이 전제입니다. 설치 명령:sudo add-apt-repository ppa:yannubuntu/boot-repair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y boot-repair
이 절차를 따르면, Boot Repair가 Live 환경에 설치되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오프라인 환경에서의 주의점
Boot Repair는 일부 기능을 제외하고 오프라인에서도 실행 가능합니다. 다만 최신 패키지를 가져오거나 로그를 자동으로 업로드하는 기능은 제한되므로, 가능한 한 인터넷 환경을 확보하고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만약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없는 경우, 사전에 Boot Repair가 미리 포함된 “Boot-Repair-Disk”라는 ISO 이미지도 있습니다. 이를 사용하면 USB 메모리나 CD에서 직접 Boot Repair를 부팅할 수 있어, 네트워크 환경이 없어도 복구가 가능합니다.4. Boot Repair의 사용법: 권장 복구 절차
Boot Repair의 시작과 기본 화면 보기
Live USB에서 Ubuntu를 부팅하고 Boot Repair를 설치하면, 이제 본격적으로 복구 작업을 시작합니다. Boot Repair는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터미널 조작이 서투른 사람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작 방법: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을 입력합니다.boot-repair
시작 후 잠시 지나면 창이 표시되고 시스템 상태를 자동으로 스캔해 줍니다. 스캔이 완료되면 두 개의 옵션이 표시됩니다.- 「Recommended repair(권장 복구)」
- 「Advanced options(고급 설정)」
「Recommended Repair」로 GRUB를 자동 복구하기
「Recommended repair」는 가장 일반적인 문제(GRUB 손상, 부팅 항목 누락 등)를 자동으로 감지·복구해 주는 편리한 기능입니다. 조작 절차:- 「Recommended repair」 버튼을 클릭
- 복구 처리가 시작되고, 터미널 형식의 로그 화면이 표시된다
- 몇 분~수십 분 안에 처리가 완료된다
- 결과로 복구 내용을 정리한 URL이 제시된다
복구 완료 후 주의사항: 재부팅 전에 확인할 사항
복구가 완료되면 「재부팅하십시오」 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그러나 재부팅하기 전에 다음 사항을 확인해 두세요。- BIOS/UEFI 설정에서 올바른 부팅 드라이브가 선택되어 있는지
- 외장 스토리지나 USB 메모리가 연결된 상태로 남아 있지 않은지
- 듀얼 부팅인 경우, 다른 OS(예: Windows)도 부팅 가능한지 확인
Boot Repair 로그 URL 활용법
복구 결과로 표시되는 URL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형식이 됩니다:https://paste.ubuntu.com/p/abcd1234/
이 링크에는 복구 전후의 시스템 상태, GRUB 설정, 파티션 구성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복구에 실패한 경우에도 이 정보를 Ubuntu 포럼이나 Q&A 사이트에 게시하면 다른 사용자로부터 적절한 조언을 얻기 쉬워집니다.
5. 수동 GRUB 복구 방법 (Boot Repair로 해결되지 않을 경우)
Boot Repair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는?
Boot Repair는 매우 편리한 도구이지만, 모든 문제를 자동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수동 복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EFI 파티션 마운트에 실패하고 있다
- 복잡한 멀티부트 구성에서 GRUB가 잘못 인식하고 있다
- 디스크 구성이 변경되어 자동 탐지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
- Boot Repair 자체가 크래시가 나서 실행할 수 없다
chroot를 이용한 GRUB 재설치 방법 (BIOS 모드)
수동 복구는 Live USB로 부팅 → 루트 파일시스템 마운트 → chroot 환경 전환이라는 흐름이 기본이 됩니다. 단계 1: 마운트 작업 (예시에서는 /dev/sda1을 Ubuntu의 루트 파티션으로 가정)sudo mount /dev/sda1 /mnt
sudo mount --bind /dev /mnt/dev
sudo mount --bind /proc /mnt/proc
sudo mount --bind /sys /mnt/sys
단계 2: chroot로 시스템 환경에 들어가기sudo chroot /mnt
단계 3: GRUB 재설치grub-install /dev/sda
update-grub
단계 4: chroot 환경을 빠져나와 재부팅exit
sudo reboot
이 절차에 따라 GRUB가 재구성되고, Ubuntu가 정상적으로 부팅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EFI 환경에서의 복구: 추가 주의사항
UEFI 환경에서는 위에 추가하여 EFI 파티션 (보통 /boot/efi)의 마운트가 필요합니다. 아래 절차를 추가해 주세요. EFI 파티션 마운트 (예: /dev/sda2가 EFI 파티션)sudo mount /dev/sda2 /mnt/boot/efi
그 후, chroot
한 뒤 아래를 실행합니다.grub-install --target=x86_64-efi --efi-directory=/boot/efi --bootloader-id=ubuntu
update-grub
UEFI에서는 특히 BIOS (UEFI 설정)에서 ‘Secure Boot’가 활성화된 경우 GRUB 로드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복구가 잘 되지 않을 때는 일시적으로 Secure Boot를 비활성화하는 것이 유효한 대책입니다.고급 수동 복구 예시 (참고)
여러 OS가 설치된 머신에서는 GRUB 설정 파일 (/etc/default/grub
)을 편집하여 부팅 순서와 표시 메뉴를 커스터마이즈할 수도 있습니다.sudo nano /etc/default/grub
예를 들어, GRUB 메뉴 표시 시간을 10초로 변경하려면 아래와 같이 편집합니다.GRUB_TIMEOUT=10
편집 후에는 update-grub
을 실행하여 반영합시다.6. 자주 발생하는 트러블·케이스 스터디 별 대처법
Ubuntu 부팅 트러블은 사용자 환경마다 다양한 패턴이 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Boot Repair와 수동 복구를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 자주 발생하는 케이스별 원인과 대처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합니다.케이스 1: Ubuntu 업데이트 후 부팅되지 않음
증상:- 업데이트 후 GRUB가 표시되지 않음
- 검은 화면에서 멈춤 / 부트 로더를 찾을 수 없음
- 커널 업데이트 및 GRUB 설정 변경으로 인한 불일치
- Live USB에서 Boot Repair를 실행하고, “Recommended repair”를 수행
- 그래도 해결되지 않으면 수동으로
update-grub
을 실행하여 GRUB 설정을 재생성
sudo mount /dev/sda1 /mnt
sudo chroot /mnt
update-grub
케이스 2 Windows와 듀얼 부팅 시 Ubuntu가 부팅되지 않음
증상:- Windows만 부팅되게 됨
- GRUB가 사라지고 Windows 부트 매니저로 돌아감
- Windows 대규모 업데이트로 인해 GRUB가 덮어써졌을 가능성
- Live USB에서 Boot Repair를 사용하여 GRUB를 재설치
grub-install /dev/sda
update-grub
- Boot Repair 후 BIOS/UEFI 부팅 순서를 “Ubuntu”로 변경
- Windows 부팅 시 고속 시작을 비활성화하는 것도 권장
케이스 3: SSD나 HDD를 교체·증설 후 부팅되지 않음
증상:- GRUB는 표시되지만 OS를 찾을 수 없음
- “unknown filesystem”, “grub rescue” 등 오류가 표시됨
- 디스크 UUID 변경이나 장치명 (/dev/sdX) 변화로 인한 GRUB 설정 손상
- Live USB에서 수동으로 루트 파티션을 마운트하고
update-grub
으로 수정 - 필요에 따라
/etc/fstab
의 UUID도 확인·수정
blkid # UUID를 확인
sudo nano /mnt/etc/fstab
케이스 4: UEFI와 BIOS 설정 불일치로 부팅 불가
증상:- GRUB가 설치되었지만 부팅되지 않음
- “No bootable device” 및 “Missing OS” 오류
- Ubuntu는 UEFI로 설치되었지만 BIOS 설정이 “레거시(CSM)” 등으로 되어 있어 부팅 방식이 일치하지 않음
- BIOS 설정에서 부팅 모드를 UEFI로 변경하고, Boot Repair로 EFI 엔트리를 복구
efibootmgr
명령으로 엔트리 확인 및 수정도 가능 (고급 사용자용)
sudo efibootmgr -v
케이스 5: GRUB 메뉴가 나타나지 않고 바로 Ubuntu가 부팅됨
증상:- 부팅은 가능하지만 다른 OS(Windows)를 선택할 수 없음
- GRUB 메뉴가 전혀 표시되지 않음
- GRUB 설정 파일에서 메뉴가 비표시 상태임
- GRUB 설정 파일을 편집하여 표시를 활성화
sudo nano /etc/default/grub
# 아래와 같이 편집
GRUB_TIMEOUT_STYLE=menu
GRUB_TIMEOUT=10
- 저장 후
update-grub
으로 반영
7. FAQ(자주 묻는 질문과 그 답변)
Ubuntu의 부팅 문제와 Boot Repair 사용에 관해 많은 사용자가 궁금해하는 점을 Q&A 형식으로 정리했습니다. 이 기사를 참고하여 원활한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Q1. Boot Repair를 사용하려면 인터넷 연결이 필요합니까?
A1. 필수는 아니지만, 인터넷 연결이 있으면 보다 확실하게 복구할 수 있습니다. Boot Repair는 GRUB 패키지를 재설치하거나 시스템 상태를 로그로 업로드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러한 작업에는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합니다. 오프라인에서도 기본적인 복구는 가능하지만, 로그 공유와 업데이트는 제한됩니다.Q2. Boot Repair를 사용했더니 Windows가 부팅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A2. GRUB가 Windows를 감지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래 절차대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Live USB로 Ubuntu를 부팅
boot-repair
로 “Recommended repair”를 다시 실행- 또는, 수동으로 아래를 실행하여 GRUB 설정을 업데이트
sudo mount /dev/sda1 /mnt
sudo chroot /mnt
update-grub
이 작업으로 GRUB 메뉴에 Windows 부팅 항목이 다시 표시될 것입니다.Q3. GRUB 메뉴가 표시되지 않고 Ubuntu가 그대로 부팅됩니다.
A3. GRUB 설정에서 메뉴가 비표시 상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설정 파일을 편집하여 표시를 활성화합시다.sudo nano /etc/default/grub
다음과 같이 설정을 변경합니다:GRUB_TIMEOUT_STYLE=menu
GRUB_TIMEOUT=10
편집 후 sudo update-grub
으로 반영하십시오. 다음 부팅 시 GRUB 메뉴가 표시됩니다.Q4. Boot Repair 실행 후, 검은 화면 상태에서 진행되지 않습니다?
A4. 복구는 성공했지만,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나 부팅 시 구성 때문에 화면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래를 시도해 보세요:- GRUB 메뉴에서 “Advanced options”를 선택해 다른 커널로 부팅해 보기
- GRUB 메뉴에서
e
키를 눌러 “quiet splash”를 삭제하고 상세 로그를 확인하기 - 복구 모드로 부팅하여 드라이버 관련 문제를 확인하기
Q5. Boot Repair 실행 후, BIOS 부팅 순서가 바뀌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A5. Boot Repair가 새로운 부팅 엔트리를 생성한 경우, BIOS/UEFI 부팅 순서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부팅 시 BIOS 설정 화면(DEL 키나 F2 키 등)을 열어 ‘ubuntu’나 ‘GRUB’가 최상위가 되도록 부팅 순서를 다시 설정하십시오.Q6. EFI 모드와 BIOS 모드를 잘 모릅니다. Boot Repair는 어느 쪽에서도 사용할 수 있나요?
A6. Boot Repair는 UEFI(EFI) 모드와 BIOS(레거시) 모드 모두를 지원합니다. 다만, Ubuntu를 설치할 때와 동일한 모드로 Live USB를 부팅해야 합니다. 설치가 UEFI 모드라면, Boot Repair도 UEFI 모드에서 실행하십시오.8. 요약: 부팅 문제는 두렵지 않다. Boot Repair로 간편 복구!
Boot Repair의 포인트를 되짚어 보기
- 초보자도 사용할 수 있는 GUI 기반 도구로, 클릭만으로 GRUB 복구가 가능
- Live USB 부팅 및 설치가 전제이지만, 명령어 조작은 최소한으로 OK
- 자동 복구가 안 될 경우에도, 수동으로 GRUB 재설치를 수행하면 해결 가능
- UEFI/BIOS 환경의 차이와 듀얼 부트 환경의 특수한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응
- 로그 URL 활용 및 GRUB 메뉴 재구성 등, 실전 노하우도 다수 소개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
Ubuntu를 안심하고 계속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예방책도 중요합니다.- 정기적으로 시스템 백업을 수행한다 (Timeshift 등 활용)
- 업데이트 전에 복원 지점을 만들어 둔다
- UEFI/BIOS 설정을 이해하고, 변경 시 기록을 남겨 둔다
- Boot Repair를 사전에 알아두고, Live USB 환경을 준비해 둔다